손님
하일지 지음 / 민음사 / 2012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술술 읽히는 책이었다. 어쩌면 구도가 단순하다 싶을 정도이다. 독특한 것들이 있다면 이 소설에 등장하는 캐릭터들일 것이다. 

  이 책을 이끌어가는 이는 허도라는 인물이다.허도는 폐결핵환자이로 나무밑에서 지렁이를 파서 먹고 있는 사람이다. 허도는 해거름녘 모자 쓰고 마을에 들어온 사람인 슈라는 인물과 누나와 형과 누나의 무용반 학생들을 관찰하는 인물이다. 

  허도의 누나 허순,여상을 제대로 마치지도 못하고 이학년에 중퇴한 허순은 무용을 어떻게 알았는지는 모르지만 인문계고등학교에서 학생들을 가르치고 그 제자중 한나가 서울의 어느 대학 무용과에 진학을 했다. 아들 둘이 있지만 이혼하고 허도의 친구와 동거를 하고 있다.

  그리고 허순이 가르치는 무용반 아이들과 허도의 형과 형수가 있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해거름녘 허원이라는 마을로 들어서는 모자 쓴 낯선 남자, 여자랑 도망간 예배당 목사의 후임이라고 짐작했으나 그렇지 않고 허순을 찾아온 한국말을 잘 모르는 외국인 남자.

  이 마을에 들어 온 손님. 손님이 들어오면서 모두의 시선과 관심은 이 손님에게 모인다. 그러나 허도를 빼고 다른 이들은 이 부유한 손님을 벗겨먹으려고 작당을 한 듯 하다. 손님대접을 한다고 하고서는 개고기집으로 가서 포식을 하고 계산은 손님에게, 호텔비도 손님이, 봉고차를 빌리는 값도 손님이, 술과 간식 심지어는 허순의 아이들 장남감까지 손님이, 작정한 듯 당당히 요구하는 허순과 석태의 태도에 허도는 당황스럽기도 하다. 

  손님! 우리나라에서 손님은 다른 곳에서 나를 혹은 우리를 찾아 온 사람이다. 이런 손님에 대한 대접은 융슝히 하는 것이 우리의 관습인데 여기 이들은 해도 너무한 지경을 보여준다. 한 번 만나고 안 만날 사람에게도 이렇게 하기는 힘들텐데... 일반인의 상식으로.

  이런 이들을 보는 허도의 심정은 부끄럽기도 하고 미안하다. 그는 손님에게 대접하고 싶지만 고염나무 밑 지렁이외에는 가진 게 없다. 그래서 무용반 유나가 손님이랑 수영을 해서 안 보이는 곳으로 갔을 때 몸이라도 줬으면 하고 바란다. 

  그런데 이런 손님 슈는 왜 당하고만 있을까? 그의 말에서 우리는 짐작을 할 수 있다.

  아버지는 자신이 세살 때 죽었고, 재혼한 어머니는 삼남매를 낳고 살다가 몇년전에 죽었다. 허순은 내 어머니를 닮았다. 이 손님이 아무런 연고도 없는 이 마을에 들어와서 허순을 비롯한 주변인물에게 당하고 있는 내막이 이건가? 

  서로의 시선이 관심이 비껴나 있다. 허순을 비롯한 이들은 손님에게서 이익을 취할 방법에만 관심이 가 있고 허도는 어떻게 하면 손님을 대접할 수 있을까 하는 데 초점을 맞추고 손님은 이들에게 대접만 하고 있다.

  과연 무얼 말하는 걸까? 책을 읽고 나서 한참을 생각하고 또 생각했다. 결국 읽고 난 뒤 일주일만에 서평을 쓰고 있다. 아직도 정확히 그 중심이 잡히지 않는다. 아마도 살면서 고민하고 기억하게 될 듯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