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복의 리더십 - KBS스페셜, 나를 행복하게 할 리더는 누구인가?
이재혁.KBS 스페셜 제작팀 지음, 서승범 정리 / 알에이치코리아(RHK) / 2012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예전 나는 닉네임을 행복해져라 얍~~으로 정했었다. 행복해지고 싶었다. 지금까지 리더가 나의 행복을 담보해준다고 생각하지 않고 살아왔다. 나의 행복은 내 능력에 달려있다고 배웠고 또 그렇게 믿고 살아왔다. 그러나 요즘 잘못된 리더로 인해 불행해질 수 있구나 아니 내가 행복해지지 않을 수도 있다는 걸 알게 되었다. 

  이제 12월 말이면 우리나라의 5년을 책임질 대통령을 뽑는 선거가 있다. 우리의 행복을 위해서 어떤 리더를 선택해야 할까하는 질문을 안고 이 책을 읽어나갔다. 나를 행복하게 만드는 리더를 여기 책에 소개한 리더들 중에서 고르고 싶지만 그럴 수는 없고 우리나라의 실정과 현재 나와있는 후보들 중에서 함께 생각해 보았다. 

  나를 행복하게 만드는 리더 찾기는 이제는 시대적 요구가 소통과 공감에 포커스가 더욱 맞춰져있는 듯 하다. 다른 사람들의 의견과 생각에 귀를 기울이는 리더, 그들의 행복을 위해서 노력하는 리더가 지금은 필요하다. 그렇지만 리더 자신의 행복 또한 지켜져야하는 부분임에는 틀림없다. 결국 "공동선"의 구현이 중요한 거라고 생각한다. 


  책에 언급된 여러 지도자들-브라질의 룰라대통령,영국수상 처칠, 런던시장 보리스 존슨,싱가폴 총리 리콴유,핀란드 대통령 할로넨등의 본받아 마땅할 지도자들의 리더십도 있지만 후쿠시마사태때 오히려 불신을 안겨줬던 일본의 간 나오토 총리와 히틀러의 리더십에서 우리는 경계의 대상으로 삼아야함을 알 수 있다.

  소통과 공감, 정의와 책임, 혁신과 미션등 리더십의 조건을 꼽아보는 책을 통해서 우리는 우리의 지도자의 덕목을 생각해볼 수 있다. 모든 정책의 최우선은 가난한 사람들에게 희망을 주는 것이라고 생각하고 빈곤층에 대한 재정지원과 자립교육프로그램인 볼사 파밀리아프로그램을 만든 룰라대통령, 리더는 홀로 존재하지 않는다고 하며 롬니가 런던 올림픽이 안전하지 않다고 했을때 런던 시민들에게 "우리는 준비 돼 있습니까?"라고 물으며 혼자가 아니라 '우리'함께를 강조했던 보리스 존슨 런던시장을 볼 때 우리의 지도자가 어떤 점을 우선 생각하는지 살펴보아야 한다. 


  위로는 진통제이고 상처를 치료하는 것은 정의라고 했다. 정의를 몰라서 멀어진 것이 아니라 실천하지 않아서 멀어진 것이다. '정의롭지 못한 사회에 저항하는 유일한 방법은 스스로 정의로워지는 것'이라고 했다. 지금 우리는 위로부터 부정과 거짓말을 아무렇지도 않게 하고 있어 사회전반적으로 도덕적해이가 벌어지고 있다. 내가 개인적으로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지도자의 조건이 정의라는 요소이다. 


 나는 무엇보다도 이책의 마지막에 나와있는 Creating Shared Value 공유가치를 중요한 요소로 보았다. 사회에 공헌하는 활동을 통해 이익을 증대시킨다는 것. 이것이야말로 앞으로 사회경제적인 지도자들이 지켜야할 가치라고 생각한다. 복지를 이약기하면 포퓰리즘이라고 비판하는 사람들이 있다. 부자에게 쓰는 돈을 투자라고 하고 가난한 사람들에게 쓰는 돈은 비용이라고 하는 그들은 복지의 가치를 숫자로만 이해하고 있다. 반값등록금으로 아낀 돈도 크지만 대출,사채,아르바이트에 저당잡히지 않은 젊은이들의 꿈이 훨씬 중요하다. 이들의 행복과 지도자의 행복이 같을 때 우리는 진정한 지도자를 가졌다고 말해도 좋을 듯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