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자 서른 산이 필요해 - 여자의 등산은 정복이 아닌 행복이다
이송이 지음 / 브레인스토어 / 2012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저 산은 내게 우지마라 우지마라 하고
달 아래 젖은 계곡 첩첩산중
저 산은 내게 잊으라 잊어버리라 하고
내 가슴을 쓸어 내리네 
아~ 그러나 한줄기 바람처럼 살다 가고파
이산 저 산 눈물 구름 몰고 다니는 
떠도는 바람처럼
저 산은 내게 내려가라 내려가네 하네
지친 내 어깨를 떠미네
아~ 그러나 한줄기 바람처럼 살다 가고파
이산 저 산 눈물 구름 몰고 다니는 
떠도는 바람처럼 
저 산은 내게 내려가라 내려가라 하네
지친 내 어깨를 떠미네
저 산은 내게 내려가라 내려가라 하네
지친 내 어깨를 떠미네
 
  '산'하면 난 이 노래가 떠오른다. 산은 나에게 오라고 손짓도 하고 우지마라고 달래주기도 하고 그리고 내려가라고 등떠밀기도 한다. 산을 오르고 또 내려오면서 난 이번 주에도 이 노래를 부르며 산을 가슴에 담아볼 지도 모른다.

   이번 주에 들어서면서 서울도 가을이 성큼 성큼 다가오고 있다. 저 멀리 산에 보이는 나뭇잎들이 알록달록 변하는 걸 보니 꼭 어서 오라고 손짓을 하고 있는 듯하다. 아마도 이번 주말부터 다들 저마다의 이유들을 가지고 산을 오르지 않을까 싶다. 

 작가는 혼자서 혹은 친한 이 몇이서 도시락을 싸고 지하철을 타고 갈 수 있는 서울 근교의 산을 오른다. 저마다 산을 오르는 이유가 다르겠지만 우리는 산을 오르면서 많은 생각을 하게 된다. 

  도피에의 유혹을 뒤로 하고 현실에 발붙이며 택한 곳은 줄기차게 능선을 뻗으며 땅에 꽉 몸 붙이고 앉아있는 이 산들. 둥둥 떠오르려는 내 마음을 산이 지그시 붙잡는다.

 '세상이야 어떻게 돌아가든 이렇게 몇만년 우직하게 땅에 몸붙이고 있는 나를 보라'면서

 작가의 산을 찾는 이유 중 하나이다. 도망치고 싶은 유혹을 꾹꾹 눌러가며 살고 있는 우리들. 도피처럼 주말에 산에 오르며 산에서 배운다. 힘들어도 내색하지 않고 그저 묵묵히 그 자리를 지키고 지친 우리를 안아주는 산처럼 우리 또한 묵묵히 살아볼 것을.  친구와 같이 오르는 산행은 이런 저런 사는 이야기를 하면서 다시 한번 나를 돌아보고 정리하는 시간이다. 또한 친구의 넋두리를 들어주며 결코 친구혼자만의 고민이 아닌 나도 그렇게 살고 있노라고 외로워하지 말라고 서로 토닥여주는 시간이다. 혼자 오르는 산행은 시간,동행에 구애받지 않고, 기다리는 사람, 재촉하는 사람 없으니 가벼운 외로움과 함께 걷게 되는 길이다. 돈이나 시간을 아끼라는 말은 흔해도 요즘 세상에 말을 아끼라는 소리는 드문데 혼자걷는 산행은 묵언의 수행이다. 묵언하는 것만으로 에너지가 모인다. 오히려 목소리가 소음이 되는 산행.

 머리는 복잡하고 가슴은 두렵더라도 다리는 관계없이 걷는다. 머리가 단순해진다. 가슴도 무던한 다리를 닮아간다. 

 산을 오르는 길은 생각버리기 연습을 하는 시간이 된다.그래서 굳이 정상을 목표로 하지 않아도 좋다. 작가가 추천하는 서울근교의 산들로 간단한 도시락과 삶을 지고 산을 올라보자. 신분증을 맡기고 올라야 하는 불편함이 있지만 그래서 더욱 오래 보호받아 조용하고 그즈넉한 북악산 성곽길도 걸어보고 운길산 수종사를 오르며 묵언수행도 해보고 부처님의 가르침을 주는 산이라는 광교산도 올라보자. 

 산을 오르는 이유만큼 서로 다르게 산에서 얻는 것 또한 다를 것이다. 

 산에 가고 싶어진다. 다행히도 이번 주말 서울 근교의 산은 아니어도 계룡산 산행이 잡혀있다. 오랜만에 대학동기들과 산을 오르기로 했다. 이번 산행은 암투병중인 친구가 대학때 엠티갔던 곳을 한번 가보고 싶다는 바램을 들어주는 산행이다. 어떤 이유에서건 산행에서 친구도 나도 좋은 기운을 받아왔음 좋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