음식 그 두려움의 역사
하비 리벤스테인 지음, 김지향 옮김 / 지식트리(조선북스) / 2012년 8월
평점 :
절판


한 가정의 건강을 책임지고 있다는 주부로서 이 책을 읽고 난 뒤 "아~~뭐야! 우리 완전 속았잖아!"하는 생각이 들었다. 결론부터 말하자면 음식에 대한 공포를 조장하는 뉴스에 휘둘리지 말고 적당히 좋아하는 음식을 즐겁게 먹으면 된다는 것이다. 그동안 건강에 안좋을까봐 겁을 먹었던 음식들이 실은 해롭다는 어떤 결정적이고 명확한 과학적인 근거를 발견할 수 없었다는 것이다. 그리고 음식과 건강에 대한 주장들은 호떡뒤집듯이 뒤집혀 왔다는 것이다. 언뜻 기억하는 것으로 커피가 건강에 해롭다고 했다가 하루에 몇 잔은 건강에 이롭다는 주장도 있었다. 또 한때는 기적의 식품이며 영양소의 보고라던 우유가 '일급살인마'라는 거창한 누명까지 쓰게 되었다.  

  한동안 티비에서 방영되던 요구르트의 광고는 어떤가?  유산균의 중요성에 대해서 이야기하는 메치니코프의 사진과 불가리아사람들의 장수의 비결이 유산균이라는 걸 계속해서 강조하고 있었다. 결국 메치니코프는 요구르트가 생명연장의 묘약이며(생명연장의 꿈이라는 광고카피 기억나지 않는가?) 140년을 살 수 있다고 했지만 정작 매일 유산균을 마시던 그는 71세에 죽었다. 그리고 불가리아의 장수의 근거는 그 마을 사람들이 할아버지, 아버지, 손자가 모두 같은 이름을 쓰고 있어 통계자체가 믿을 수 없는 것이었다. (우린 뭘 믿고 요구르트를 그렇게 맹신하면서 먹었던 걸까? 또 왜 의사들은 거기에 동조한 걸까?) 

  얼마전 일본 낫또가 다이어트 식품이며 대장암을 방지한다고 알려져 우리나라에서도 대히트를 기록한 적이 있다. 일본 후생성의 발표는 '식물섬유는 대장암 리스크와 관계가 없다. 하지만 극도로 적은 여성에 한해서 대장암리스크를 높일 수도 있다.'였다. 그러나 아사히 신문 타이틀은 " 낫토정식 대장암 방지? 식물섬유부족에 주의, 후생성 연구보고서 8만명조사"라고 나와있으며 한 방송은 낫또 다이어트에 대한 조작방송을 내보내기도 했다. 이런 정보가 우리나라까지 와서 열풍을 일으켰으니 나비효과도 있었던 것이다. 

  요즘은 이런 푸드패디즘을 타고 많은 주장들이 전세계적으로 퍼지기도 한다. 푸드패디즘, 즉 식품과 영양이 건강과 질병에 주는 영향을 과다하게 믿는 것에는 반드시 특정상품이나 기업의 이익이 연결되어있다. 그러나 식품과 영양의 중요성과 문제점을 나타내는 문구는 얼마나 정의롭고 순수해 보이는가?  "~할지도 모른다. 혹은 ~와 관련이 있을 수도 있다."에 우리는 우리의 건강을 엄청나게 염려해주는 그들에게 고마움의 절이라도 해야할 것 같다. 하지만 잠깐 멈추고 좀 더 기다려보는 것이 맞다. 그 주장은 또 다른 주장에 의해 또 달라질 수 있으니까. 전문가들은 소수의 사람들에게만 적용되는 것을 알면서도 일반화시켜 발표한다. 왜 그럴까? 우리가 다는 알지 못하지만 식품에 대해 새로운 사실이 발표되었을 때 "누가 이익을 얻을지"곰곰히 생각해 봐야 할 것이다.

 

  건강에 관심을 가지고 있는 사람이라면 읽어두면 좋을 듯 한 이 책은 번역서라는 것 때문에 읽기에 어려움이 좀 있다. 때론 한번에 이해가 되지 않는 문장을 종종 만나게 된다. 그렇지만 많은 건강과 음식에 관련된 책들이 이걸 먹지 마라 혹은 이걸 먹어야만 한다로 되어있는 데 비해 이책은 음식에 관련된 주장과 반론, 탐욕 그리고 이득까지 역사적사건들을 나열하므로써 우리에게 잘 생각해볼 것을 권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