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리, 혼자서 - 60세에 첫 유학길에 오르다
강인순 지음 / 에스 / 2018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여행은 매일 똑같은 일상을 사는 우리에게, 아니 변함없이 지루한 우리의 사고에 변화를 가져다준다. 10여일정도의 여행이 가져다주는 변화도 놀라울 때가 많은데, 하물며 1년동안의 유학은 어떨까?
그것도 인생의 후반기 중의 후반기, 예전같으면 골방에 누워 잔소리를 하고 있는 할머니가 된 나이인 60세(지금은 절대 절대로 그럴 수 없지만)에.
<파리,혼자서>의 작가  강인순님은 바로 그런 나이에 파리 유학길에 올랐다. 새로운 모멘텀이 필요했다고 한다. 그 방법으로 버킷리스트 1번에 적어 놓았던 프랑스 유학을 떠났고, 유학을 끝내고 돌아 와 역시 항상 머릿속에만 있었던 글쓰기 공부를 한 뒤 정말 책을 낸 것이다.
이 책의 추천서를 쓴 여러 사람 중에 시인이자 문화평론가인 김갑수 님의 글이 가장 나의 독서와 맞닿아 있었다.
'참 많은 예술 기행서들이 있다. 그 가운데 강인순의 체험이 선택될 이유는 글솜씨나 내용의 전문성 따위가 아니다. 한마디로 숙성의 힘이 가득한 책이다. 일생토록 갈망했고 긴 세월 사전 준비를 해 왔던 프랑스 예술의 정수들. 하지만 특별한 전문가가 아니라 불란서가 낯설지 않은 사람들 가운데 한 사람이 대표 집필한 것만 같은 친숙함이 이 책의 강점이자 가독성으로 다가온다. 내게는 짧은 여행지였을 뿐인 프랑스, 그런데 책을 읽다 보니 좀 오래, 많이, 그리고 깊에 다녀온 기분이 든다.'

올 봄에 같이 독서모임을 하던 동료들과 프랑스 여행을 했다. 아비뇽에서 우리는 카뮈의 무덤이 있는 루르마랭(루르마항)까지 가보기로 했다. 아비뇽에서 우리는 작은 렌트카를 빌려 아무리 들어도 알아듣지 못하는 프랑스어 네비게이션의 안내에 따라 루르마랭으로 갔다. 부슬부슬 내리는 빗속을 낯선 길을 따라 강인순 작가의 그 말처럼 '출구가 많은 로터리들'을 지나 도착한 작은 마을 루르마랭은 복잡하고 사람이 많은 파리, 그리고 관광객이 넘치는 아비뇽과는 너무 다른 모습이었다.
하지만 카뮈의 무덤을 찾을 수 없었다. 그러다 강아지를 데리고 산책을 하고 있는 한 부부를 만나 그들의 안내로 카뮈의 무덤과 카뮈가 살던 집을 찾아갈 수 있었다. 고개를 숙여야만 겨우 지나갈 수 있는 길을 지나 카뮈의 집을 가장 잘 볼 수 있는 위치로 우리를 데려다 준 그 부부는 서로 언어는 통하지 않았지만  이 낯선 동네에 카뮈를 보겠다고 그 먼길을 온 더욱 낯선 동양인 아줌마들을 친절하게 안내해주었다. 그들 덕분에 카뮈가 쓰던 방을 올려다볼 수 있었고 카뮈의 무덤까지 같이 걸으면서 아몬드 나무와 사이프러스 나무도 볼 수 있었다.

나도 작가처럼 고등학교 시절 카뮈의 <이방인>을 읽고 그의 문장에 놀랐고, 또 여전히 이해를 못한 채 때때로 꺼내 읽어보고 있지만, 카뮈의 집과 무덤을 보았다는 그 경험으로 더욱 그의 작품에 다가간 느낌이 들었다.

그녀의 <파리, 혼자서>를 읽는 것이 내게는 두 번의 프랑스 여행을 호출하는 추억의 시간이 되었다. 그녀가 보고 감동했던 몽생미셸, 로댕의 발자크 동상, 빅토르 위고의 집과 보주 광장 모두가 다시 가보고픈 곳이다. 또한 프랑수아 1세의 샹보르성, 슈농소성, 보-르-비콩트성 그리고 클로 뤼세는 다음에 기회가 되서 다시 프랑스를 간다면 꼭 가보고 싶은 곳으로 나의 노트 한 곳에 적힐 것이다.

각기 다른 이유로 여행을 하고 다른 나라를 방문하고 그리고 그것을 글로 남기겠지만, 그 깊이와 폭은 각기 다르다. 단순히 안내서로, 여행 가이드북으로 그치는 책이 있고, 독자의 마음 속에 잔잔한 파문을 일으켜 힐링이 되는 책도 있다.

또 언젠가 여행을 위해 가방을 꾸리겠지만, 그 때 나도 이런 깊이를 가지고 여행을 할 수 있었으면 좋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