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조건 이윤을 많이 남긴다고 다 좋은 건 아니다.

이익률을 정했다면 어떻게 그 수치를 만들 것인가. 여기서 원가 관리는 필수다.
"모든 이익은 원가 기획 단계에서 결정된다." 《도요타의 원가)라는 책에 나오는 말이다.
장사를 하려면 원가 기획을 정확하게 할 줄 알아야 한다. 원가 기획을 하기 위해선 모든 걸 알아야 한다. 단순히 ‘원재료가 1,000원인데 3,000원에 파니까 2,000원이 남네‘가 절대 아니다. 인건비, 4대 보험, 각종 공과금, 세금, 퇴직금, 보험료, 감가상각비 등 모든 걸 계산할 수 있어야 한다.

월 매출이 5,000만 원일 때와 1억 원일 때는 수익률 자체가 달라진다. 당연히 매출이 오르면 수익률이 높아진다. 어느 정도 높아지는지 본인이 계산할 줄 알아야 한다. 수익이 높아지면 그만큼 고객에게 돌려줘야 한다. 수익이 생기는 족족 주머니에 챙기면 오래가지 못한다.
반드시 정확한 수익만 남기고 나머지는 재투자를 해야 한다. 그래야 100년 기업을 만들 수 있다. - P115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퍼스널 브랜드의 중요성

내가 먼저 브랜드가 되어야 한다. 브랜드가 된 사람은 스스로 생각하는 사람이다. 당신은 얼마짜리 브랜드인가? 당신은 지금 얼마를 벌 수 있는가? 정확하게 분석하고 인정한 후 몸값을 높이자. 몸값을 높이는 방법으로, 경험을 통해 실력을 키우고, 실패한 분야를 더 배우고, 독서로 세상을 보는 눈을 만드는 것 말고 또 무엇이 있겠는가?

축하한다. 당신은 이제 당신만의 브랜드를 가졌다. 브랜드의 힘은 막강하다. 그 어떤 주식이나 부동산보다 훌륭하다. 브랜드는 꾸준한 현금 흐름을 만들어주는데, 꾸준하게 생산되는 현금의 힘은 막강하다. 매일 10만 원씩의 매출로 만든 1,000만 원이, 갑자기 생긴 10억 보다 힘이 강하다. 꾸준한 현금 흐름이 당신의 미래를, 당신의 가족을 책임져준다.
당신의 브랜드가 1,000억 원에 매각됐다는 소식을 기다리겠다. - P104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세계적 생물학자 베른트 하인리히는 <뛰는 사람>에서 이렇게 말했다. "나는 사소한 사건이 꾸준히 쌓여 마침내 엄청난 영향력을 발휘하는 자연의 운영 방식에 경탄을 금할 수가 없다."
눈에 보이지 않을 정도로 작은 씨앗들이 땅에 떨어지고, 꾸준히 시간이 흘러 거대한 숲이 된다. 마찬가지로 우리가 작은 습관을 꾸준히 쌓으면 거대한 영향력을 발휘할 수 있는 내공이 생긴다. 이 내공으로 운을 만들 수도 있다. - P32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많은 이들이 간과하거나 알아도 외면하고 싶어하는 팩트

당신은 돈으로부터 얼마나 자유로운가? 진정한 자유를 누리기 위해선 돈으로부터 자유로워야 한다. 여기에는 두 가지 방법이 있다. 필요한 만큼의 돈을 벌든가, 돈이 없어도 행복할 수 있다는 철학으로 무장하든가. - P17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쓰는 사람이 되기까지 - 한은형

내 수첩과 노트북에는 실현되지는 않았지만 얼마나 많은 무한한 가능성이 있나? 그 글은 시작되지 않았기에 어디로든 갈 수 있고, 어떻게든 뻗어 나갈 수 있다. 단, 내가 하는 거에 따라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