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청소 끝에 철학 - 쓸고 닦았더니 사유가 시작되었다
임성민 지음 / 웨일북 / 2018년 3월
평점 :
복잡한 심경의 변화가 있을 때나 해야할 일들이 쌓여 있을 때 잠시 마음을 가다듬고 싶을 때가 있다. 이럴 때 산책을 나가 무작정 걷거나 집 구석구석을 아무생각 없이 청소하면 뭔가 마음이 가라앉는 걸 느낄 수 있다. 닦는다는 행동에 집중하다보면 그동안 고민도 잠시 사라지고 더러운 구석이 걸레질에 의해 깨끝해져 마음이 가뿐해진다. 청소 끝에 철학이라는 책은 청소를 하며 느끼는 마음의 변화와 청소와 관련된 삶의 지혜를 담고 있지 않을까해서 읽게 되었다. 책 표지의 알록달록 청소 도구들과 그 사이에 사람들 어떠한 철학을 담고 있을지 궁금했다.
살면서 우리는 청소와 떨어질 수 없다. 매일 청소를 해도 어느새 새로 나타난 먼지가 쌓이고 쌓인 먼지를 보면 청소를 하지 않을 수 없다. 쓸고 닦고의 반복되는 청소가 저자는 우리 삶을 닮았다고 한다. 먼지가 쌓여 더러워 쓸고 닦아 깨끗해지면 다시 먼지가 쌓이고 다시 청소를 한다. 힘과 시간, 정성을 들여 더러워진 공간을 다시 전처럼 깨끗하게 만드는 청소는 반복, 변화, 유지를 동시에 원하는 우리 인간의 행위라 말한다.
먼지를 쓸고 걸레로 닦는 일년의 과정은 하나의 삶으로 철학이 시작된다. 청소 속에 인문학적 사유가 숨어있다. 다른 환경과 문화 속에서 사람들은 청소를 통해 자신의 공간을 깨끗하게 원래의 형태로 보존하고자 하며 이러한 청소에도 문화가 존재한다. 청소는 신분이 낮은 사람들이 해왔던 일이고 빗자루 탄 마녀도 사실 여성 차별의 역사가 숨어있다. 그 속에서 프로이트의 심리학을 발견하며 비움의 철학도 숨어 있다.
청소와 공간(문화), 무(비움), 존재, 상처, 노동, 유목, 어머니, 나를 주제로 써내려간 청소와 관련된 이야기들을 읽으며 청소에 대해 또 다른 시각에서 생각해보고 공감하는 시간을 가졌다. 방 한 켠 묵은 때 구석구석 쓸고 닦아 벗겨내듯 청소를 하며 내 마음 속 부정적인 감정들, 두려움, 힘듦, 슬픔, 우울을 조금이나마 덜어내보자. 청소를 하며 마음 속 묵은 찌꺼기를 조금씩 털어내며 그 자리에 긍정 에너지를 채우고 새날을 준비하자. 또 마음 속 부정적인 감정이 들어오려하면 다시 청소로 훌훌 털어내도 좋을 듯 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