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2병의 비밀 - 초등4~중3 학부모와 교사를 위한 '요즘 사춘기' 설명서
김현수 지음 / 덴스토리(Denstory) / 2015년 2월
평점 :
절판


[자녀교육/서평]「중2병의 비밀」내 아이가 아프다면



  

중2병의 비밀 - 
김현수 지음/덴스토리(Denstory)


 나는 자녀 교육에 참 관심이 많다(여자친구도 없는 주제에). 독서지도사 생활을 하면서 필연적으로 얻어야 했던 지식과 정보들이 관심으로 바뀌고, 내가 어렸을 때 받은 교육에 대한 회의가 느껴져서 그에 대한 반발심으로 제대로 된 교육을 배우고자 했다. 독서지도가 보통 유아나 초등부를 대상으로 하고 그동안 교육에 관해 읽었던 책 대부분 역시 같은 대상과 입시에 대한 책이었기에 일명 '중2병'을 앓고 있는 사춘기 아이들에 대한 이야기는 조금 생소한 편이었다. 내가 과연 '중2병'을 앓고 있는 사춘기 자녀가 있다면 나는 과연 현명하게 그 우환(?)을 감당할 수 있을까? 지금의 아이들은 내가 자랄 때와는 다르고 내가 자녀를 키울 때쯤이면 또 지금과는 다를 게 분명하다. '아이들은 다 알아서 자란다' 라는 무책임한 생각을 하고 있다면 「중2병의 비밀」​의 내용은 더욱 심각하게 다가올 수 있다.

 

 김정은이 남침을 하지 못하는 이유가 '중2병'이 무서워서 하지 못한다는 이야기가 있을만큼 현재 우리 아이들이 앓고 있는 중2병은 무척 무섭다. 네이버에서 연재되고 있는 웹툰 <싸우자 귀신아>에서 중2병을 정의하길 중2병이란 '세상에서 자신이 제일 불행하고 고독하며 세상을 등진 존재라 여기는 증상'이라고 한다. 사춘기는 인생에서 가장 감정적으로 불안정한 시기여서 긴장과 불안이 넘치기 때문에 올바른 길잡이가 필요하다. 우리가 그들을 어떻게 이해해야 좋은지 어림짐작으로 되는 일이 아니다. "엄마 아빠는 너밖에 없어" 을 사랑의 표현으로 받아들이지 못하는 지도 모른 채 아침마다 그 이야기를 되풀이 하는 부모를 보면 얼마나 소통이 안 되고 있는가를 알 수 있다. 특히 자녀를 마치 자신의 소유물로 착각하고 뭐든지 부모의 뜻대로 자지우지 하려는 모습은 가장 하지 말아야 할 모습으로 보인다. 그들이 이제 막 부모의 품을 벗어나 하나의 개인적이고 독립적인 개채로 인정할 때 사춘기, '중2병'의 처방은 시작된다.




 가족이라는 구성은 아무리 서로에게 관심이 없고 얼굴을 보지 않는다 하더라도 어떻게든 상호작용을 하기 마련이다. 아이나 부모 둘 중 하나가 아침에 화를 낸다면 그 화가 그날 저녁까지 감정의 불행으로 이어지기 마련이다. 아이의 행복을 지켜주는 일이 곧 나의 행복을 지켜주는 처방과도 같다. 대부분의 사춘기 소년 소녀들이 학교라는 공간에 소속되는 이상 중학생이라는 신분은 피할 수 없는 무거운 짐이고 중2병은 필연적으로 다가오기 마련이다. 중2병은 불치병이 아니다. '중2병'으로 파생되는 정신적인 질환을 효과적으로 대처하기 위해서는 가족 모두의 도움이 필요하다. 중2병에 현명하게 대처하고 조치할 수 있는 그 비밀을 안다면 우리 가족의 정신 건강을 지켜줄 수 있지 않을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