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부채로 만든 세상 - 은행개혁과 금융의 제자리 찾기
신보성 지음 / 이콘 / 2024년 6월
평점 :
우리가 매일 접하는 은행, 그 존재는 우리의 일상과 경제에 깊이 뿌리내려 있다. 하지만 이 익숙한 존재가 우리의 사회와 경제에 큰 부작용을 초래한다면 어떻게 받아들일 수 있을까? 우리가 알고 있는 은행제도의 깊은 모순과 그로 인한 부작용을 역사적 증거와 금융이론을 바탕으로 철저히 파헤치는 책이 나와 읽을 기회가 있었다. 신보성님의 <부채로 만든 세상>이었다. 이 책은 은행을 둘러싼 통념을 과감히 깨뜨리고, 현대 사회의 수많은 문제의 근원을 은행제도에서 찾는다. 저자의 이러한 주장과 분석은 우리에게 은행을 새로운 시각으로 보게 하며, 우리가 미처 알지 못했던 은행제도의 어두운 이면을 드러낸다.
신보성은 은행의 역사를 고대에서부터 현대에 이르기까지 방대한 시각에서 서술한다. 은행의 기원과 발전 과정을 통해, 은행이 어떻게 현대 경제의 중심축으로 자리잡게 되었는지 설명하는 것이다. 은행은 단순히 돈을 보관하고 대출하는 기관이 아닌, 경제를 움직이는 중요한 메커니즘으로 성장했다. 저자는 이 과정에서 은행이 어떤 역할을 했고, 그 결과로 나타난 경제적, 사회적 변화들을 상세히 분석한다. 현대 사회에서 은행은 필수적인 존재로 자리 잡고 있다. 우리는 은행을 통해 예금을 하고, 대출을 받아 집을 사고, 사업을 시작한다. 이러한 은행의 역할은 우리 삶에 깊이 뿌리내려 있다.
은행의 역사는 위기의 역사라 할 수 있다. 저자는 고대부터 현대까지 이어지는 은행의 역사를 통해, 은행이 어떻게 발전해왔는지 설명한다. 고대 그리스와 로마 시대부터 중세 이후 유럽에 이르기까지 은행은 항상 위기와 함께 존재해왔다. 은행의 부채인 예금은 만기가 없기 때문에, 은행은 언제든지 예금 인출 요청을 받을 수 있다. 이는 은행의 취약성의 근원이라 할 수 있다. 은행 간 대출 확대 경쟁, 즉 신용팽창이 벌어지면 필연적으로 불량차입자가 늘어나고, 이는 은행의 건전성을 훼손시킨다. 건전성이 훼손되면 예금자들은 예금을 인출하려 하고, 이는 뱅크런으로 이어지는 것이다. 뱅크런의 결과는 은행의 파산이며, 이는 고대부터 현대까지 반복되는 현상이며, 이는 은행의 역사는 곧 파산의 역사라는 것을 이야기 해 준다.
대부분의 사람들은 은행이 예금을 받아 그 돈으로 대출한다고 알고 있다. 그러나 실제로는 은행은 대출을 통해 허공에서 예금을 만들어낸다. 이는 은행이 대출을 통해 새로운 예금을 창출한다는 의미한다. 은행 창구 직원이 대출금액을 고객의 예금계좌에 기록하고 엔터키를 치는 순간, 새로운 예금이 만들어지며, 이 과정에서 은행은 대출금리와 예금금리의 차이만큼 이익을 얻는다. 엔터키를 칠 때마다 은행의 이익이 증가하기 때문에, 은행은 경쟁적으로 대출을 늘리려 한다. 이러한 신용팽창은 경제에 과도한 부채를 초래하며, 이는 결국 경제적 불안정성을 야기한다. 은행의 부채인 예금은 만기가 없다는 점에서 은행의 취약성을 드러낸다. 예금자들은 언제든지 예금을 인출할 수 있기 때문에, 은행은 항상 인출 요구에 대비해야 한다. 그러나 만기가 없는 부채는 은행의 취약성의 근원이다. 은행 간의 신용팽창 경쟁이 벌어지면, 불량차입자가 늘어나 은행의 건전성이 훼손되며, 이는 뱅크런으로 이어지며, 뱅크런이 발생하면 은행은 파산하게 되는데 이러한 역사적 사례는 고대 그리스와 로마 시대, 중세 유럽에서 반복되었다.
19세기 중반 이후, 영국은 중앙은행을 통해 은행을 구제하기 시작했다. 이후 주요 선진국들도 영국의 선례를 따랐고, 20세기 들어 대부분의 나라들은 중앙은행을 통해 은행을 구제했다. 예금보험제도와 정부 지급보증 등의 안전망이 확대되면서, 오늘날의 은행, 특히 대형은행은 사실상 불사의 몸이 되었다. 이러한 안전망 덕분에 뱅크런은 점차 과거의 기억이 되었다. 그러나 이는 은행이 더 이상 파산하지 않는다는 의미가 아니다. 은행은 여전히 경제에 큰 영향을 미치며, 과도한 신용팽창과 부채 문제는 여전히 현대 사회에서 중요한 문제로 남아있다. 현대 사회에서 은행의 문제점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몇 가지 사례를 살펴볼 필요가 있다. 2008년 금융위기는 은행의 과도한 신용팽창과 부채 문제가 어떻게 경제적 재앙을 초래할 수 있는지를 잘 보여준다. 당시 많은 은행들이 부동산 대출을 통해 과도한 부채를 쌓았고, 이는 결국 금융시스템의 붕괴로 이어졌다. 이 과정에서 많은 사람들이 일자리를 잃고, 경제적 불평등이 심화되었다. 이러한 사례는 은행의 과도한 부채와 신용팽창이 경제에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을 명확히 보여준다. 또한, 최근 몇 년간의 경제적 불안정성도 은행의 문제와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다. 중앙은행의 저금리 정책은 은행들이 더 많은 대출을 통해 신용팽창을 촉진하도록 유도했다. 이는 주택 가격 상승과 같은 자산 버블을 초래했고, 이는 결국 경제적 불안정성으로 이어졌다. 이러한 상황은 은행이 경제에 미치는 영향과 그 부작용을 잘 보여준다.
이와 같은 맥락에서, 현대 사회의 경제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은행 시스템의 근본적인 개혁이 필요하다. 은행들이 더 이상 무한한 안전망에 의존하지 않고, 자산운용에 있어서 더 큰 책임감을 가져야 한다. 이는 은행들이 그들의 대출 관행을 재검토하고, 과도한 신용 팽창을 자제하도록 만드는 방향으로 나아가야 한다. 신보성은 은행제도 개혁이 필수적이라고 주장한다. 그는 과잉 금융, 부채의존경제에서 벗어나기 위해 100% 준비제도를 제안한다.
부채로 만든 세상, 총리뷰
저자는 은행의 역사와 현대 사회에서의 문제점을 상세히 분석하며, 은행제도가 가진 근본적인 모순을 파헤친다. 은행이 과도한 부채를 통해 경제를 왜곡시키고 있으며, 이로 인해 많은 사회적 문제를 초래하고 있다고 주장한다. 그의 주장은 도발적이지만, 철저한 역사적 증거와 금융이론을 바탕으로 한 명쾌한 분석은 우리에게 깊은 인상을 남긴다. 은행에 대한 우리의 통념을 깨뜨리고, 새로운 시각을 제공하며, 현대 사회의 수많은 문제의 근원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통찰을 제공해준다.
*본 포스팅은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주관적으로 작성한 리뷰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