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나오미와 가나코
오쿠다 히데오 지음, 김해용 옮김 / 예담 / 2015년 5월
평점 :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작성한 독후감입니다.]
오쿠다 히데오라는 작가에 대해서 나는 너무 모르고 있었나보다.
이런 류의 소설을 쓰다니...
그러고 보니 난 이라부 시리즈에만 빠져 있던 것같다.
새로운 작가의 글쓰기를 발견한 것 같아 앞으로 읽어보고 싶어진 책들이 훅하니 늘어나버렸다. ㅎ
소설 <나오미와 가나코>는 제목과 같이 나오미와 가나코라는 동갑의 동창생이 주인공인 이야기다.
나오미는 백화점 외판부 (우리나라의 특판팀이라면 맞을까? 여하튼 VIP를 상대하는 팀이라고 해야겠다.) 직원이다.
가나코는 은행원 남편을 둔 전업주부.
어느 날 나오미는 가나코가 남편의 가정 폭력에 당하고 있음을 알게되었고, 이내 자신의 부모를 떠올린다.
생활력이 없는 어머니는 그래서 남편의 폭력에 저항하지 못하며 살아가고 있었고, 가나코도 마찬가지 상황에 처해있음을 알게된다.
정의감이랄까 가나코에 대한 동정심이랄까...
나오미는 가나코의 남편 다쓰오를 제거 (나오미는 죽여서 없애버리는 것을 제거한다라고 말한다. 불량품을 제거하듯...)하기로 한다.
가나코와 의기 투합해서 말이다.
clearnace plan이다.
차이나타운에서 다쓰오와 똑같이 생긴 남자를 이용해서 다쓰오가 상하이로 출국한 것 처럼 꾸미고 두 사람은 다쓰오를 죽이고 산에 묻어버린다.
자 여기까지가 책의 구성 상 나오미의 관점에서의 이야기다.
이제부터 가나코의 관점에서 이야기를 풀어간다.
과연 이후는 어떤 전개가 될까?
완전 범죄를 꿈꾼다기 보다 이렇게 하면 가나코가 남편의 폭력에 시달리지 않게 될 수 있지 않을까 하는 생각에서 시작된 나오미의 계획이었다.
일본 사회는 순종적인 여자, 특히 남편에 복종하는 아내가 되어야 한다는 생각이 일반적인 것일까?
작가가 괜히 이런 소재로 소설을 쓰지는 않았으리라는 생각이다.
잘 몰랐지만 작가는 사회성있는 이야기를 비판적인 시각에서 장편 소설을 썼다고 하니 말이다.
없어져야 하는 폭력이다.
하지만 과연 사람을 죽이는 것에 대해서 타당한 선택이며 그런 권리가 우리에게 있는 것인지는 의문이다.
나는 개인적으로 사람이 사람을 우리 안에서 통용되고 인정되는 기준으로 재판할 수는 있지만 그 재판의 결과로서 그 사람의 생명을 거둘 수는 없다는 입장이다.
그 사람의 자유를 구속하고, 행한 나쁜 일에 상응하는 물질적 보상을 치르도록 할 수는 있겠지만 삶을 끝내게 하는 것은 안된다는 생각을 한다는 말이다.
누군가의 생명을 빼앗은 사람은 어떻게 하느냐에 대해서는 고민스럽지만...
일관성을 택하느냐 아니면 개별성을 택하느냐... 흠... ㅡ.,ㅡ;;
한편으론 두 사람의 완전 범죄가 성공하길 조금 바래봤다.
그만큼 가정 폭력이라는 행위가 비난받아 마땅하다는 생각이다.
이런 바램에 훼방꾼이 등장한다.
과연 완전 범죄란 없는 것일까?
완전 범죄란 있어서는 안되는 것인데 왠지 응원을 하게 되는 모순되는 상황에 빠지게 만든 두 사람이다.
하긴 그동안 작가의 필력에 휘둘려서 별다른 생각없이 여기까지 왔지만 지금보니 여기저기 어설픈 구석이 한 두 가지가 아니다.
나오미와 가나코 두 사람도 아마추어적인 자신들의 행동에 기가 차지 않았을까?
여하튼 두 사람에게서 우정과 의리 그리고 그녀들의 에너지를 지켜봤다.
많은 사람들이 동의할 것 같은 또 한 쌍의 델마와 루이스인지도 모르겠다.
#나오미와가나코 #오쿠다히데오 #김해용 #위즈덤하우스 #일본소설 #장편소설 #매일책읽기 #독후감쓰기 #도서리뷰 #문학
#델마와루이스 #완전범죄 #가정폭력 #clearance_plan #우정과의리 #일본여성상 #순종만이미덕이아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