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름을 삼킨 소녀 스토리콜렉터 28
넬레 노이하우스 지음, 전은경 옮김 / 북로드 / 2015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리뷰를 쓰는 속도보다는 책을 읽는 속도가 확실히 빠르다.  넬레 노이하우스의 책을 쌓아놓고 읽고 있는 중이다.  피아의 이야기를 읽다가 예전에 나온 그녀의 색다른 책을 집어 들었는데, 이 또한 읽은지 꽤 시간이 지났다.  내용 정리는 간간히 해 놓았지만, 확실히 처음 읽었을때의 감정은 느껴지지 않는다. 어쩌면 글이 객관적으로 다가올지도 모르겠지만, 내 리뷰에 객관적일 필요가 있을까 싶다.  서평이라 이야기를 하기에 평을 해야겠지만, 몇해가 지난 후에 리뷰를 읽으면서 책 내용이 생각나지 않을때가 종종 있어서 책에 관한 내용은 들어가야 한다.  나를 위해서는 말이다.  가끔 리뷰 대회용으로 쓸떄도 내 방식을 고수할때가 많아 문제가 되긴 하지만 말이다.  뭐 어떠랴.  내가 보는 리뷰 내 맘데로 쓰고 싶다는데..

 

 

어... 이거 넬레 노이하우스가 쓴 글 맞아? 하고 의문을 갖게 되는 책이 『여름을 삼킨 소녀』다.  엄마 입장으로는 정말 말도 안되는 일이지만, 셰리든의 시선으로만 세상을 바라보면 그 나이에 나도 그랬던가 하고 생각을 하게 만든다.  1994년 미국 네브라스카 주 페이필드가 주무대를 이르고 있는 매디슨 카운티의 그랜트 집안에 딸인 셰리든은 공식적으로는 버넌 그랜트와 레이첼 그랜트 부부가 입양을 한 아이로 되어있다.  멜러키, 하이럼, 조지프와 에스라까지 네명의 오빠와 함께 하고 있고,셰리든의 엄마인 레이첼 그랜트는 완벽한 신데렐라의 계모로서의 역활을 다하고 있는 것처럼 보인다.  게다가 막내오빠인 에스라는 신데렐라의 새언니에 빙의된 듯 어떻게 하면 셰리든을 괴롭힐지 연구하는것처럼 보인다.  그럼에도 셰리든이 웃을수 있는 이유는 셰리든을 너무나 사랑하는 버넌 그랜트와 세명의 오빠들 덕일것이다.

 

페어필드의 수치라 불리는 사건에 휩싸인 셰리든의 유치장 사건은 셰리든의 첫번째 여름을 수 놓는다.  '여름을 삼킨 소녀'다.  여름마다 무슨일이 일어났다는 말인가?  십대가 되기전부터 짝사랑 하던 제리와의 가벼운 입맞춤이 여름의 시작인줄 알았더니, 목련저택으로 이사온 이사벨라 고모할머니와의 만남 부터가 셰리든의 여름을 부로는 전초였던 것 같다. 할머니 집에 소장된 수많은 책들 중 셰리든의 눈에 든 책은 해럴드 로빈슨의 <헨리의 격정>이었고, 열 다섯살 소녀는 책속에 빠져들게 된다.  임신하지 않는다면 남자랑 자고도 바로 결혼하지 않아도 된다고 이야기하는 이사벨라 고모 할머니에 말에 용기를 얻기 시작한게 셰리든을 뜨거운 여름 속으로 밀어놓은 것일까?  20대 초반의 잘생긴 일꾼 대니를 유혹하는 열다섯살의 소녀라니.  물론 아이에겐 격정만 찾아오는것은 아니었을것이다.  뮤지컬을 전공한 코스텔로 선생님과의 만남은 시드니, 올리버, 브랜던 래컴과 함께 밴드를 결성하게 되고, 뮤지컬 '록 유어 라이프'까지 만들게 되니 말이다. 

 

열여섯의 셰리든은 30대 초반의 크리스토퍼 핀치를 만나게 되면서 육체적인 강렬함과 쾌락을 맞보게 된다.  이런... 빌어먹을... 엄마가 관심을 갖지 않으면 이런일이 일어나게 된다. 30대 아저씨와의 사랑이라니... 이게 사랑은 사랑이었을까?  엄마의 끈질긴 방해에도 불구하고 '미들 오브 노웨어'축제에 참여하게된 셰리든은 인생의 가장 중요한 사건을 맞게 된다.  1957년부터 1963년까지 일기를 적은 캐럴린 쿠퍼의 일기장을 발견하게 되는데, 일기장과 여러 사건들을 통해서 캐럴린이 자신의 친모이고, 엄마라 부르는 레이첼이 이모임을 알게 된다. 이시기의 셰리든에겐 참 많은 일들이 일어나는데, 아빠가 맹장수술을 하고 에스라가 성폭행을 하려다 미수에 그치기도 하고, 잘생긴 카우보이인 미컬러스를 만나기도 한다. 가장 끔찍한 것은 변태경찰의 성폭행과 살인이 일어난 일일 것이다.  그뿐인가?  크리스토퍼 핀치가 셰리든의 미국문학수업을 하는 교사로 나타나서는 학생과의 부적절한 관계가 알려질까바 안절부절하기까지 하니, 참 열여섯 소녀의 삶이 고달프기만 하다.

 

'제리와 이컬러스는 나를 떠났고, 부모님은 나를 속였고, 크리스토퍼는 나를 이용했다.  성폭행을 당했고, 한 남자와 아기를 죽인 살인자가 되었다.  이런 죄를 지었으니 행복해질 자격이 없었다.' (p.374) 

 

어린 소녀의 자기 고백이다.  이런 생각을 하고 있으니 힘들수 밖에 없었을 것이다.  게다가 "셰리든 그랜트, 이웃에 대해 오만한 판단을 내리지 말고 겸허함을 좀 배우는 게 좋겠구나" (p.343) 라고 이야기하는 호레이쇼 버넷 목사까지 힘들어도 정말 힘이든다.  하지만 역시나 넬레 노이하우스의 글이다.  끊임없이 나오는 캐럴린 쿠퍼의 일기속 PC를 찾아내고야 마는 셰리든.  낙원만(Paradise Cove)에 있는 낡은 벙커가 PC란다.  그곳에서 밝혀지는 일기속 비밀들.  캐럴린 쿠퍼와 레이첼 쿠퍼, 그리고 이모부인 버넨 그랜트까지 얽히고 설킨 이야기들이 서서히 마무리되기 시작한다.  여기서 끝내야하는데, 넬레 노이하스는 그러고 싶은 마음이 없는지 셰리든과 호레이쇼 버넷 목사를 엮어버린다.  아~ 정말.  이 아이, 왜 이러는 건가?  완벽한 엔테테이먼트 소설이다.  성과 사랑에 눈떠가는 소녀는 이게 사랑인가 구분못하는 모습이 그려지고, 가족의 비밀이 미스터리 형식으로 보여진다.

 

누군가의 말처럼 잔인하고도 찬란한 셰리든의 여름은 이렇게 지나간다.  열여덟살이 되면 떠나겠다고 이야기하는 셰리든이 돈을 모아 차를 구입하고 떠나는 것으로 이야기가 마무리되었으니 말이다.  우리의 관념과는 확실히 다르기에 이 아이의 옳고 그름을 이야기할 수는 없다.  하지만, 아이가 문제가 아닌 가족이 문제인것은 확실하다.  읽는 내내 괜히 읽었다는 생각이 들었었고, 그냥 쌓아놓은 티아누스 시리즈를 읽지 않은 걸 후회했었다.  아마도 내 아이가 셰리든의 나이이기에 이렇게 감정 이입이 되었는지도 모르겠지만, 괜히 읽었다.  내 사고로는 받아들일수 없는 이야기.  아무도 제지해주지 않는 어린 셰리든.  사랑은 아름답다.  하지만 그 사랑도 책임이 뒤따르지 않으면 나쁜사랑이다.  주관적인 판단으로 셰리든의 격정의 사로잡힌 성 탐방보다는 캐럴린 쿠퍼의 비밀스런 일기장만 보고 싶었던 그런 책이 『여름을 삼킨 소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