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법의 해변
크로켓 존슨 글.그림, 김미나 옮김 / 자음과모음 / 2015년 7월
평점 :
절판


뭔가를 쓰는 행동은 다양한 반응을 불러 일으킨다.  아이들이 어렸을땐 엄마가 책을 읽어 주지만, 글자를 익히기 시작하면서 아이들은 스스로 읽으려 하고, 손을 이용해서 뭔가를 적으려고 한다.  그렇게 쓰기의 마법은 시작된다.  아이들이 어렸을때, 읽은 책 중엔 '요술연필 페니'에 대한 이야기도 있었고, '빨강 연필'에 관련된 이야기도 있었다.  동화는 마법의 시간을 내 눈앞에 펼쳐놓기에 조금도 부족함이 없는 매개체로 연필을 사용하고, 연필은 쓰기위한 도구로 이용되어 진다.  하지만, 쓰기는 연필이 아니어도 가능하다.  <마법의 해변>에 모래밭위에서 벤과 앤이 'spell'로 마법을 부리는것 처럼 말이다.

 

 

오두막에 앉아 이야기책을 읽던 아이들이 직접 이야기를 만들기 위해서 해변으로 나왔다.  신나는 일들을 찾는 아이도 있고, 고둥을 찾는 아이도 있지만, 이제 아이들은 배가 고프다.  "이야기 속에서 진짜로 벌어지는 일은 아무것도 없어."  " 이야기란 단어들을 늘어놓은 것일 뿐이야.  단어는 글자에 불과해.  글자들은 그저 기호의 일종이고." 라면서 벤은 어른처럼 이야기를 하면서도 벤은 앤의 배고프다는 말에 모래위에 '잼(JAM)'이라는 단어를 쓴다.  파도가 모래사장 위로 몰려와 글자들을 가져가 버린 자리엔 잼이 가득들어 있는 은접시가 놓여있고, 벤과 앤은 마법의 해변위에서 펼쳐지는 마법들을 하나씩 펼쳐내기 시작한다.

 

잼.빵, 우유, 파라솔이 아닌 나무, 사탕, 마법의 왕국의 왕, 물고기, 숲, 성, 농장들이 차례대로 해변위에 나타나고, 아이들은 고동을 찾으러 이곳에 왔다는 사실을 잊어버린다.  아이들 세계엔 아이들이 존재해야하는데,  마법의 해변에 나타난 왕은 어른이다.  어른이 마법의 해변에 나타난 순간 마법의 해변은 어른이 원하는 이야기가 되어버린다.  "이야기를 읽는 것보다는 이야기의 주인공이 되는 편이 훨씬 재미있어."라고 이야기하는 앤과 벤을 왕궁으로 데리고 갈 수 없다는 왕.  왕을 따라가는 도중에 해변에 들어오는 물로 하나씩 사라져 버리는 아이들이 만들어낸 마법의 세계.

 

아이들은 만들어낸 이야기가 아직 끝나지 않음을 이야기 하면서 모두 사라져 버린 마법의 세계 속에서 벤은 고둥을 귀에 대고 바닷소리를 듣는다.  이렇게 현실로 돌아와 버린 아이들은 어디로 갔을까?  꽤나 오래전 작품이다. 작가 크로켓 존슨이 가장 좋아하는 주제인 '상상의 힘과 한계의 미묘한 차이에 대한 탐구'를 만들어낸 <마법의 해변>은 처음에는 <모래 위의 성>으로 1965년에 출간되었다고 한다.  1975년에 작고한 크로켓 존슨의 탄생 100주년을 기념하여 작가가 그려낸 원본 스케치를 담은 <마법의 해변>은 어른이 읽는 동화다.  아이의 눈을 대변하면 앤과 벤이 바라보는 세상은 파라솔이 아니고 나무다.  하지만, 어른인 왕은 자신을 기다리는 기마병이 있는 왕궁을 바라본다.

 

크로켓 존슨의 다른 작품들을 읽어본적이 없기에 그가 어떤 이야기들을 만들어 냈는지는 모르겠지만, 비평가들은 그들 전적으로 지지한다고 하고, 그가 그려낸 삽화에 매료되고 열광한다.  다 읽고 다시 첫 장으로 돌아가서 읽어보고 싶게 만드는 마법을 부리는 <마법의 해변>은 궁금하게 만든다.  한글 번역이 아닌 원문으로 읽으면 어떤 느낌으로 다가올까 하고 말이다.  이 이야기가 내가 느끼고 있는게 맞을까?  내가 느끼는 감정이 아닌 다른 감정을 크로켓 존슨을 느끼고 있었던게 아닌지 궁금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