둥글둥글 지구촌 신화 이야기 함께 사는 세상 17
김춘옥 지음, 윤유리 그림 / 풀빛 / 2015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생각해보니 우리 집엔 신화 관련 책들이 꽤나 있다.  그리스 로마신화, 북유럽신화, 동양신화와 건국신화까지 신화 이야기들은 많은데, 딱 요렇게만이다.  오대양 육대주라고 함에도 내가 알고 있는 신화라는 것이 참 편파적이다.  어느 책에서 봤는지 알수 없는 이야기들이 지구촌 신화 이야기를 읽다보니, 신화의 뿌리를 두고 있었고, 나도 모르는 사이에 꽤나 많은 나라의 이야기를 알고 있었지만, 그게 신화였는지는 몰랐었다.  신화는 나라 마다 등장인물이나 내용이 비슷한 듯 다르다.  창세부터 시작되는 하늘과 땅의 이야기, 커다란 홍수의 이야기들이 나라마다 있다는 것이 얼마나 재미난 일인가?  어찌보면 기후, 자연환경, 부족이 다르니 다른 이야기들이 만들어 지는것이 당연한데도, 사람들은 어떻게 이처럼 비슷한 이야기들을 만들어 낸것일까?

 

 

 

고대로부터 사람들은 '자연현상'에 대한 경외와 함께 궁금증을 가지고 있었고, 자연은 축복이면서도 두려운 존재였다.  그러기에 신화 속엔 당시의 사람들이 자연을 바라보던 자연의 원리와 그들이 살아가는 방법이 담겨져 있다.  저자의 말처럼 서로 다른 환경에서 살고 있는 사람들의 오래된 관습이나, 현재 벌어지고 있는 세계 곳곳의 갈등을 이해하는데 분명 신화는 도움이 될것이다.  세계 곳곳에 숨어있는 다양하고 흥미로운 신화들은 다른 사람, 다른 나라, 다른 대륙에 대해 폭넓고 깊이 있게 이해할 수 있는 부분이니 말이다.  지구촌 시리즈는 각 대륙의 이야기를 다루고 있는데, 이번 역시 아시아, 유럽, 아메리카, 아프리카와 오세아니아의 신화를 다루고 있다.

 

세계 4대 문명 중에서 3개의 문명이 발생한 아시아.  대륙중에서 가장 넓고 인구가 많은 대륙인 만큼 아이사엔 창조 신화와 건국 신화가 많다.  그뿐인가?  삶과 죽음의 신비를 밝히는 종교적인 신화도 여럿있다. 하늘과 땅을 가른 반고(중국), 사람이 되고 싶은 곰과 호랑이(한국), 비뉴수의 일곱 번째 아바타(인도), 저승으로 친구를 찾아 떠나는 길가메시(메소파타미아), 인간을 만들었다는 키유마르스(페르시아)들을 들여다보면 어디선가 한번쯤은 들어본 적이 있는 이야기들이다.  이제 우리에게 너무나 잘 알려진 유럽으로 넘어가 보자.  올림포스 신들의 이야기가 담긴 그리스 로마 신화, 요정과 거인, 기사와 마법사가 등장하는 북유럽 신화와 켈트족의 신화. 너무나 자주 봐와서 옛날 이야기라고 생각했던 신화들은 북유럽 예술과 건축, 역사와 철학 등 다방면에 큰 영향을 끼쳤고, 신화를 통해서 유럽사람들의 생각을 엿볼 수가 있다.

 

남북으로 길게 뻗어 있는 아메리카 신화는 유럽인들이 발견하기 전에 살던 원주민의 신화에 뿌리를 두고 있는데, 부족마다 다른 신화를 가지고 있다.  하지만 그들의 신화는 자연과 인간이 조화를 이루고 교감하는 것을 이야기를 하고 있다.  거북의 등에서 생긴 땅을 이야기하는 북아메리카 신화, 우화같은 코요테의 법칙과 멕시코 사람들이 이야기하는 세상의 창조와 파괴는 지구의 긴 역사를 보여준다. 신화는 그 지역의 생활환경과는 영향이 있다.  홍수 신화는 어느곳에서든 찾을 수 있는데, 남아메리카 홍수 신화는 자연과 인간이 함께 어려움을 극복해 나가는 걸 그리고 있고, 안데스 산 중턱에 있던 착한 목동 형제와 그들이 돌보던 라마의 이야기를 통해 지금의 생활 모습까지 그려준다.  

 

아프리카의 신화는 신화라고 자각하지 못하는 사이에 알고 있는 것이 꽤나 많다.  끝없는 사막위에 웅장한 피라미드와. 나일강 유역을 중심으로 한 이집트 문명.  그 빛나는 문명은 태양과 달, 별의 움직임, 모래와 강의 성질을 고대로 부터 연구해왔고, 그들에겐 단연 신들 중 으뜸은 태양신이었을것이다.  자연의 은혜가 없이는 살아갈수 없는 곳이었으니 말이다.  1년을 360일로 정한 태양신 라와 5일을 더 얻어준 지혜의 신 토트의 이야기. 지하세계를 다스리는 오시리스의 아내인 이시스의 현명한 모험, 오시리스 앞에서 죽은자들이 받는 심판까지 근래에 들어서 이집트 신화는 광범위하게 알려지고 있고, 박물관에서 그 신화의 결과물들을 보고 있다. 마지막으로 남태평양에 있는오스트레일리아, 멜라네시아, 미크로네시아, 폴리네시아와 뉴질랜드 등의 여러 섬과 대륙으로 이루어진 오세아니의 신화가 있느데, 이들은 아메리카처럼 원주민의 이야기가 전해 내려오면서 신화가 되었다.

 

신화 이야기를 만나보면 다른듯 비슷한 이야기들이 상당히 많다.  가까운 거리도 아닌 대륙들에서 어떻게 이렇게 비슷한 이야기들이 나올 수 있을까?  그리스 로마 신화의 프로메테우스는 신들을 닮은 모습으로 인간을 빚었고, 중국의 창조의 여신 여와는 진흙으로 인간을 만들었으며, 고대 마야의 신들은 옥수수로 인간을 만들었단다.  신들은 하늘과 땅을 떼어놓으면서 또 다른 신들을 만들지만, 인간은 항상 그들이 만들어낸 결과물로 그려지고 있다.  누군가에게 의지하고 믿을 수 있는 존재로 신들이 존재하려면 인간은 그들로 부터 만들어진 존재여만 하기 때문일것이다.  지구상의 홍수를 두고도 만들어 지는 홍수 신화들은 세상의 타락을 정화하는 의미로 쓰여지고 있는 곳들이 상당히 많다.  다른듯 비슷한 신화의 이야기들은 지구촌의 살고 있는 사람들의 생각이 비슷하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고, 그들의 생활상과 관습 뿐 아니라, 오래도록 이어오는 생각들을 공감하게 만들어 주고 있다.  그래서 우리는 신화를 읽고 만나면서 서로를 알아간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