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현
김인숙 지음 / 자음과모음(이룸) / 2010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소현세자[昭顯世子, 1612~1645]
이름 왕(). 인조의 장자, 효종의 형이며, 어머니는 한준겸의 딸 인열왕후()이다. 1625년 세자로 책봉되었고, 부인은 강석기()의 딸인 민회빈강씨이고 보통 강빈()이라고 부른다. 1636년 병자호란이 일어나 삼전도에서 청나라에 항복한 이후, 아우 봉림대군과 함께 청나라에 인질로 끌려갔다가 귀국 두달만에 사망하였다. - 두산백과

 

표지의 일러스트가 쿵하고 가슴을 누른다.

이 책을 통해서 알게된 소현세자를 어쩜 이렇게 잘 표현했을까?

읽으면서 이런 인물일꺼야하고 생각을 하고 있었다. 아니, 표지를 보고 책을 읽기 시작했기에 이 이미지가 각인되어 있었는지도

모르겠다. 소현이 보인다.

슬픈 눈. 깡다문 입술. 시린 콧날. 아무것도 할 수없는 몸. 그럼에도 그는 한 나라의 세자였다.

인질이 되어 떠나는 아들의 뒷모습은 아비도 어미도 울게 만들었을 것이다.

죽음을 생각하니 말이다. 하지만 한해, 두해.. 시간이 지나면 흐릿해 질것이다. 아니, 그러하지 않는것이 상식이라도

임금이라면 그러할지도 모른다.

한 사람의 아비가 아닌 임금이니 말이다.

 

명에서 청으로 넘어가는 시기.

명을 명분삼아 임금이 된 인조. 변발을 하는 떼놈이라 여겼던 청으로 끌려간 세자.

'소군'이라 불리는 아들을 보면서 인조는 무슨 생각을 했을까?

청에서 명나라의 패망을 보면서 조선의 정치적 입장과 달리 청과 명의 현실을 직시하는 아들과. 그 명분이 사라져 버린 왕.

책이 이야기하는 것은 아들과 아비의 입장이 아니었다.

그런데도 이 입장이 보인다.

저 슬프고 시린 눈이 아들의 입장을 말해준다.

아무것도 할 수 없는 몸. 묶여있지 않음에도 묶여있어 어디도 갈 수 없는 몸.

역사는 효종을 이야기 하지만, 책은 소현을 이야기한다.  그림자 처럼 소현에 뒤에 있는 봉림이 아닌 소현을..

 

세자가 원손에게 보여주고자 하는 것은 그 작은나라의 비루함이 아니었다. 비루함의 너머에 있는 것.

혹은 그 중심에 있는 것.... 그것이 바로 언젠가는 이루어져야만 할 꿈이었다

'내가 저들의 세자이다.' ' 그리고 네가 저들의 원손이다.'

'보거라. 네가 비루하나 갸륵한 저들의 임금이다.' ' 반드시 돌아가리라. 저들과 함께.' - p.208~209

 

얼마전에 읽었던 '덕혜옹주'처럼 동화같은 책은 아니다.

하나의 사실들을 세세히 들여다 보지도 않는다. 공이 튀듯 건너뛰어져 있고, 그후에 이런일이 있었구나를 알게만든다.

석경의 이야기가 그렇고, 흔의 이야기가 그렇다.

끝까지 나오는줄 아는 막금의 이야기도 튕기듯 건너뛴후에야 알게된다.

그런데도 그의 몸속에 있는 울음이 느껴진다.

눈물로 가득차있어 건드리기만 해도 터져버릴것 같은 세자의 울음이 느껴진다.

 

아들이면서 아비인 소현.

감추고 나오지 않고 꾹꾹 누르는 것이 몸에 베어버렸는지도 모른다.

그래서 힘들었을것이다.

 

조선을 사랑한 세자. 소현.

정복자들의 전쟁이 남긴 조선의 상흔, 소현세자의 마지막 2년이라고 책의 뒷표지는 말을 해주고 있지만,

소현세자가 볼모에서 풀려나 귀국후의 2년은 너무나 적게 나와있다.

그냥 느낄 뿐이다. 명분과 실리. 그리고 두려움... 이 모든것이 합쳐진 마지막 2년.

소현은 알았을까? 자신이 사랑한 조선이 자신이 사랑했던 아들을 지켜주지 못한다는 것을 말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