적절한 균형 아시아 문학선 3
로힌턴 미스트리 지음, 손석주 옮김 / 도서출판 아시아 / 2009년 10월
평점 :
구판절판



제목이 왜 이래?

이거 영 재미도 없을것 같고... 책 두깨는 헉~소리가 난다.

뭐 이렇게 또 두꺼운 거야. 800페이지가 넘네라고 생각을 했다면 정말 잘못 생각한 거다.

이런 책을 왜 이제야 만났을까?

인도 소설을 또 읽었던 적이 있었던가?

잘 모르겠다. 그런데 이 책을 읽고 나서, 인도가 전세계에서 가장 많은 영화를 만드는 나라라는 말이 실감난다.

이렇게 멋진 책들이 쏟아진다면, 이 책들을 그냥 넘길수 있는 사람이 얼마나 있겠는가?

 

가슴이 멍하다.

아니 찢어진다. 왜 남의 나라 이야기를 읽으면서 이렇게 가슴이 멍할까?

꼭 우리어머니 이야기 같아서 그냥 넘길수가 없다.

 

처음엔 디나의 이야기인줄 알았다. 디나의 이야기를 읽으면서 흥분하고 억울했다.

그런데 디나가 다른 인물처럼 변한다. 그리고는 재봉사인 이시바와 옴프라카시의 이야기가 나온다.

저사람들 뭐야 했다가, 다시 그들에 삶에 빠져든다. 너무나 안쓰럽고 불쌍해서 어떻게 할수가 없다.

그러더니 대학생, 마넥의 이야기가 나온다.

이들 네 사람의 삶이 나온다.

하나의 이야기가 끝을 맺은듯 하다가, 엮여서 거대한 이야기를 만들어 낸다.

그리고, 내 가슴을 후벼놓는다.

 

인도의 신분 제도, 카스트

카스트는 4가지계급으루 나누어져 있다.
브라만,크샤트리아,바이샤,수드라
브라만은 최고계급으루 신과가장 가까운 사람을 뜻한다. 종교의례 전담반이라고 생각해도 무난하다.
크샤트리아는 군사,정치를 담당한다.
바이샤는 장사꾼. 수드라는 천민을 뜻한다.
신화에 의하면 브라만은 신의 입에서,크샤트리아는 팔에서,바이샤는 허벅지,수드라는 발에서 나왓다고 한다.

그리고 이 카스트에도 속할수 없는 불가촉천민.

헉~소리가 아니라, 가슴이 메이고 찢어진다.

 

이 네사람의 삶을 보면서 가장 가슴이 아팠던건, 이시바와 옴프라카시의 삶이었다.

저렇게도 살아갈수 있구나. 받아들일수 없는 운명을 받아들이면서 사는 삶.

처마밑에 있으면서도 돈을 내라고 하는 사람, 브라만이 아니면서 아들을 낳았다는 이유로 숙이면서 사는 사람들.

지주와의 약속을 조금 늦었다는 이유로 똥을 먹고, 목이 메이고, 죽임을 당하는 인물들.

가슴이 절이고 아프다.

<적절한 균형>이라니... 뭐가 적절한 균형이란 말인가.

그냥 읽으면서 스치는 내 맘이 이렇게 아프고 쓰린데 말이다.

그래 이렇게 살면 되는거라고 그냥 넘어가는 이들.

내 삶이 아니라 다행이라고 생각해야할까.

 

그런데, 그런데....

모르겠다.

이책이 너무 멋지다.

끔찍하게 소름끼치는데, 이책을, 전혀 적절하지 않은 이책을 읽길 잘 한것 같다.

그리고, 누군가 이책을 물어본다고 꼭 읽어보라고 권하고 싶다.

 

전혀, 적절하지 않은데...

하지만, 로힌턴 미스트리는 분명 천재인건 확실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