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세이스트 2009.7.8 - 통권 26
에세이스트사 편집부 엮음 / 에세이스트사 / 2009년 7월
평점 :
품절



누군가의 글을 읽는 다는 것은 참 행복한 일이다.

그 글이 가슴을 아리게 하면서 따뜻하게 하는 글일경우는 더 그렇다.

어떤 행운이 있었는지, 에세이가 한 가득 들어있는 책을 일년동안 볼 수 있는 기회가 생겼다.

얼마나 기다렸는지 모른다.

그리고 첫번째 책을 받았다.

격월지라서 7.8호 통산 26권째의 책을 받은것이다.

일년의 행운이 있으니, 5권은 더 받을 수 있다.  

글은 잔잔하다. 톡쏘는 소스맛이 아니라, 부드러운 연두부 맛이 난다.

난 이런 글이 좋다.

어느 순간 부터 내이야기를 하는 것처럼, 남의 이야기를 듣는 것이 좋다.

어린 이야기가 아닌, 어른들의 이야기는 더 좋다. 들을수록 남는것이 많으니 말이다.

부드러운 연두부 한입 입에 물고 생각에 잠길수 있는 이런 글이 좋다. 어렵지 않고, 사람 사는 이야기들을 하나 둘 이야기해주고 있다.

 

초대수필 - 맹난자
나에게 쓰는 편지 - 김인숙
중편 수필 - 김선화, 송혜영, 김병기
문제작가 신작특집 - 김종길
신인상 당선작가 - 김미애, 김해려, 김현숙, 박애자, 이병연

 

이 분들의 이야기들이 실려있다.

한편 한편 사람사는 냄새가 물씬 풍긴다.

글을 읽으면서, 작가들은 어쩜 같은 것을 보면서 이런 생각을 할 수 있을까를 생각해 본다.

이 책을 읽기전에는 에세이집이 이렇게 나오는줄도 모르는 문외한 이었다. 

에세이 한권 읽고 싶다하면서도, 이렇게 많은 에세이스트들의 귀한 글들을 한번에 만날수 있는 책이 있는줄 몰랐다니,

고개 숙여진다.  

하지만, 이 책을 읽으면서 대단하다는 생각밖에 나지 않는다.

작가들은 보는 시각이 틀린가 보다.

내가 보고 느끼는 것을 그분들의 머릿속으로 들어갔다 나오면, 고운잎 한잎 한잎 떨어지는 것처럼 곱게 물들어지고,

시원한 바람이 뺨을 스쳐지나가는것 같다.

그뿐만인가?

밖으로 꺼내기 힘든 이야기들 작가들은 이야기한다.

하고 싶지만, 할수 없었던 이야기들... 나도 그러지 않은지...

누군가에게 이야기 하고 싶지만, 이야기 할 수 없는 그런 이야기들...

 

누군가는 그랬다.

시인은 언어의 마술사라고.

에세이스트들도 그렇다.  그들역시 마술사이다.

별스럽지 않은 이야기들이 별스럽게 변하고, 동참하게 만들어 버린다.

전문 에세이스트들에 글을 읽다보면, 그분들의 삶은 얼마나 풍요로울까 싶다.

말로 풍요로워지고, 보는 눈이 풍요로움을 보니 얼마나 행복할까.

그리고 그렇게 고운 글들을 가만히 선풍기 바람맞으면서 읽고 있는 나는 얼마나 축복받은 사람인가?

 

300페이지가 넘는 이 격월간지는 광고도 요상한 선전도 흔치 않다.

격월간지에 광고없이 사업성이 날까하고 혼자 고민을 해본다.

그럼에도 체를 하지 않는다.

내 이야기 같고, 주변이야기 같은 귀한 글들...

어디에서 읽든 편하게 읽을 수 있는 글들...

 

시간에 좇겨 읽은 감이 있어 아쉽다.

시간을 내서 다시 한번 음미하면서 읽어봐야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