번역은 반역인가 - 우리 번역 문화에 대한 체험적 보고서
박상익 지음 / 푸른역사 / 2006년 2월
평점 :
품절


한 사회의 문화 콘텐츠를 구성함에 있어 번역이 얼마나 중요한지를 새삼 깨닫게 한 책.

각 언어를 사용하는 세상의 어느 민족, 혹은 국민도 혼자서 문화를 창조할 수는 없다. 어떤 문명은 좀더 앞서거나 뒤쳐지며, 또 우열을 따질 수 없는 각각의 특성을 갖는다. 이런 문명간의 교류를 통해 한 사회의 문화와 기술은 풍요로워진다. 문화민족으로 자부하는 한민족이건만, 우리가 전통시대에 중국 바로 옆에 있지 않았더라면, 그리고 근대이후로는 일본과 미국과 깊이 얽히지 않았더라면, 그래서 그 선진 문명 사회들과의 교류(때로는 폭력적인 형태도 취한다)가 없었더라면, 오늘날의 이 작지만 역동적인 한국 사회는 없었을 것이다. 이 교류의 핵심 수단 중 하나는 외국어 이해 및 구사 능력이지만, 단지 외국어를 구사할 수 있어 외국 문물을 이해할 수 있는 것만으로는 한 사회의 문화 콘텐츠는 풍부해지지 않는다. 그것이 자국의 언어로 옮겨질 때에만, 더 많은 자국민이 외국 문물을 이해할 수 있고, 도입된 문화가 자국 문화에 수용되고 새로운 문화로 다시 태어날 수 있다.  이 점을 새삼 깨닫게 해주었다는 점에서 우선 이 책은 중요하다.

  아울러 이 책은 우리의 번역 현실이 얼마나 열악한지도 낱낱이 드러냈다. 번역의 인센티브가 별로 없기에, 우선 번역되어야 할 것이 번역되지 않고, 또 그나마 번역된 것들도 마구잡이요, 엉터리 투성이다.  이 점을 시정해야 할 정책당국자는 문제의 존재조차도 인지하지 못하여 수수방관하고 있는데, 여기에는 뛰어난 외국어 구사능력이 있는 지배층이 지식을 과점하려는 음모(?)조차도 엿보인다.

 물론 이 책은 출판시장의 일각에서 제대로 된 번역을 위한 노력이 경주되고 있음을 보여준다. 저자를 비롯하여 번역의 중요성을 자각하고 있는 일부 학계 인사들, 저자가 '독립연구학자'라 부른 무소속 지식탐구자들, 그리고 무엇보다도 적나라한 시장에서 끊임없이 검증받고  있는 출판사 편집자들이 그 주역이다. 희망을 가질만하다(다만, 한국어가 앞으로 100년을 내다본다면 경쟁력이 없다는 유명 컨설턴트의 단언은 마음을 어둡게 한다.)

이런 중요한 이야기를 매우 쉽고, 재미있게 전달한다는 점에서 이 책은, 아니 이 책의 저자는 뛰어나다. 내공이 보통이 아니다. 글은 막힘이 없이 술술 읽히고, 재미있다. 게다가 감동(?)까지 준다. 번역은 할수록 어렵다는 저자의 고백은 저자가 번역에 얼마나 공을 들이는지를 말해준다. 저자는 책을 한 권 번역할 때에는 약 1백권의 책을 사들여서 참고한다니, 아니 일단 책은 '지르고 본다'니, 연구자 내지 지식노동자의 자세가 어떠해야 하는지도 깨우쳐 준다.

어떤 분야건 간에 지식의 갈증을 느끼며 책을 가까이 하는 독서가들은 한 번 꼭 읽어봐야 할 책이다.  강추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