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f의 심리학 - 실패를 성공으로 바꾸는 후회의 재발견
닐 로즈 지음, 허태균 옮김 / 21세기북스 / 2008년 8월
평점 :
품절


후회없는 인생을 살자고 다짐을 하지만 매번 후회는 반복된다. 뭐가 잘못된 것일까. 후회할 행동을 하는게 잘못인가. 후회않을 행동을 안하는 게 잘못인가. 감당할 수 없는 행동 목표를 잡은 때문일까. 

저자는 다른 대답을 내놓는다. 인간은 어차피 후회하게 되어 있다는 것. 후회는 잘못된 행동, 부적절한 행동을 교정하거나 아니면 자기만족을 준다는 점에서 매우 유용하고 바람직하다는 것, 다만 적절한 방식과 적당한 정도로 후회해야 한다는 것이 그의 대딥이다(그는 후회를 '사후가정사고'라 부른다).

후회의 유용성과 그 적절한 방식을 논하면서 이 책은 우리의 심리에 관한 매우 놀라운 통찰을 소개한다. 실생활에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는 팁도 여럿 나온다.  

다른 심리교양서에서 이미 본 것이지만, 사람은 단기적으로는 실제로 한 행동에 대해 후회하지만("내가 왜 그 행동을 했을까..."), 장기적으로는 하지 않은 행동(비행동)에 대해 후회한다("그렇게 했어야 했는데...")고 한다. 저자에 의하면 이는, 우리 두뇌가 이미 한 행동, 그래서 완결된 행동은 잘 잊어버리지만, 하지 않은 행동은 잘 잊지 못하는 것(자이가르닉 효과) 때문이라고 설명한다. 이미 한 행동은 완료된 것이기 때문에 설사 그 결과가 뼈아픈 것이었더라도 기억의 주변으로 밀려나고, 그 덕분에 우리는 그 행동에 대한 후회로 내내 괴롭힘을 받지는 않는다고 한다(심리면역체계의 가동). 반면 하지 않은 행동은 기억의 중심 언저리에 계속 남아서, '그걸 했더라면... 했을 텐데' 라는 후회가 반복되고 증폭된다고 한다. 

그렇다면 할 일은 '과감히 저지르는 것'이다. 저질러서 잘못되어도 좀 시간이 지나면 그 아픔이 잊혀져서 견딜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저지르지 않은 일은 내내 나를 따라다니며 괴롭히게 된다. 정말 후회 덩어리 인생이 된다. 그러니 후회하지 않으려면, 아니 후회에 시달리지 않으려면 '저질러야' 한다.

사람은 선택 국면에서 할까 말까 망설일 뿐 선뜻 행동을 취하지 못하는 경우가 있다. 이는 행동이 실패로 귀결되었을 때의 후회를 비행동으로 인한 실패가 가져올 후회보다 더 뼈아프게 느끼는 우리의 보수적 심리구조 때문이다. 그래서 변화를 주는 새로운 행동을 취하지 못한다. 하지만 길게 보면, 하지 않은 행동으로 내내 후회에 시달리게 될 것이니, 저지르는 것이 우리에게는 최선의 선택이다. 

이 책을 보면 심리학이 우리의 내면세계에 관해 얼마나 귀중한 통찰과 유용한 생활 지혜를 내 놓았는지를 볼 수 있다. 이 좋은 책이 판매지수도 그리 높지 않고 리뷰도 하나밖에 안달려 있다니 좀 이상하다. 시장에서의 정보소통이 효율적이지 않음을 보여주는 예인 것 같다. 의외로 알찬 책이니 꼭 읽으시길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