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각의 탄생 - 다빈치에서 파인먼까지 창조성을 빛낸 사람들의 13가지 생각도구
로버트 루트번스타인 외 지음, 박종성 옮김 / 에코의서재 / 2007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창조력 사고력을 기르는 13가지 방법(단계)이 잘 설명되어 있다. 목표는 종합지(통합적 지식), 관찰에서 출발해 이미지 형성, 추상화, 패턴인식과 형성, 유추, 몸으로 생각하기, 감정이입, 차원적 사고, 모형만들기, 놀이, 변형을 거쳐 마침내 통합에 이르는 사고발달의 과정이 앞서간 위대한 창조적 인물들의 사고법을 예로 하여 소상히 쓰여 있다.

저자(부부)는 수학, 물리학, 화학, 생물학 등의 자연과학과 음악, 미술, 건축, 조각 등의 예술을 자유자재로 넘나든다. 수많은 근거사례가 소개되는데, 그중에는 각 분야에 관한 기초지식이 없이는 이해하기 어려운 것들도 많다. 하지만 하려는 이야기는 분명하다. 편중된 한 분야의 지식만 학습하지 말고, 다양한 분야에 걸쳐서 학습하며, 이 경우에도 기존 지식을 습득하는 데 치중할 것이 아니라, 위의 사고과정을 거치면서 다양한 창조 실험을 하라는 것이다.

13가지 생각도구 중 특히 눈길을 끈 것은 패턴형성, 몸으로 생각하기, 감정이입에 관한 설명이다. 우선, 과학과 예술의 각분야에는 특징적인 패턴이 있는데, 여러 분야의 패턴을 비교하고 차용하다 보면 아주 유용한 새로운 패턴이 만들어질 수 있다고 한다. 한 분야도 제대로 알기 힘든데, 다른 분야까지 공부하라니 참 부담스럽다. 그러나 어쩌랴. 그래야 새로운 것을 만들어낼 수 있는 걸. 여러 분야를 공부하고 익히다 보면, 처음에는 돌아가는 느낌이 들겠지만, 결국 그것이 피가 되고 살이 될 것이다.

또 문제를 몸으로 느껴야 하는데, 예컨대 굴삭기 기사는 굴삭기가 신체의 일부, 팔의 일부처럼 느껴져야 정상이라 한다. 그래야 굴삭기를 정확히 자유자재로 움직여 일을 할 수 있다는 것이다. 늘 자신이 모는 자동차는 쉽게 주차하고 좁은 틈도 잘 빠져 나가는데, 이것은 이미 그 자동차가 운전자 몸의 일부가 되어 있기 때문이라 한다. 문제를 몸으로 느끼면 문제를 더 정확히 이해할 수 있고, 나아가 몸이 그 해결책을, 아니 해결의 방향을 알려 준다고 한다.

생각도구 중 압권은 감정이입이다. 내가 연구대상, 작업대상과 일체가 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작가가 소설 등장인물이 되어 그의 눈으로 세상을 보고 그의 감각으로 세상을 느끼는 것은 당연한 일이겠지만, 곤충학자가 스스로 곤충이 되어 곤충의 마음으로 느끼며 역사연구자는 그 역사의 현장으로 들어가서 직접 경험하며(자유를 찾아 이동한 미국 노예를 알기 위해 직접 그 코스를 당시의 노예와 같은 조건에서 여행한 예가 소개되어 있다), 아인슈타인이나 파인만처럼 광자의 관점에서 우주를 바라보거나 '내가 전자라면 어떻게 할까?'라고 질문해야 한다는 것이다. 앎은 느낌을 통해서 오는 것이라 한다.

이 책은 한 번 읽고 다 이해하기는 어려운 책이다. 각 생각도구를 하나씩 집중적으로 연습해 보면 좋을 것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