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가 몰랐던 동아시아 - 근대 망령으로부터의 탈주, 동아시아의 멋진 반란을 위해
박노자 지음 / 한겨레출판 / 2007년 5월
평점 :
절판


박노자 교수는 자신이 공부한 것을 명확한 메시지로 바꾸어 대중에게 전달하는 데 뛰어나다. 우선은 공부를 엄청 하는 것 같다. 우리 역사뿐 아니라 중국, 일본 역사도 폭넓게 깊이 공부한다. 게다가 거기서 얻은 정보를 자신의 체계에 녹여서, 잘 소화해서 명확한 주장으로 독자에게 전달한다. 이는 그를 폄훼하려는 의도에서 하는 말이 아니다. 이렇게 할 수 있는 연구자는 손꼽을 정도다. 재능이 뛰어날 뿐 아니라 노력도 엄청나리라는 점에서 그가 대단한 사람임은 분명하다.  

그래서 그의 글을 좋아한다. 정확히 말하면 그의 글 스타일을 좋아한다. 글의 생명이란 새로운 정보, 혹은 메시지를 전달하기 위한 것인데, 끊임없이 새로운 사실을 발굴해서 그 의미를 타인에게 설명하는 것, 감탄하지 않을 수 없다.

이 책 역시 새로운, 우리가 잘 모르고 있던 역사적 사실들을 소개하여 우리의 무지를 깨우친다. 우둔한 백성을 깨우치고 가르치는 도구로 '이광수가 만들고 박정희가 전파한' 성웅 이순신, 고종의 하사금을 받아 운영해 사실상 준관보였던 개화기의 신문들, 헛다리만 짚다가 소용없는 밀사외교에 매달린 고종, 일본의 군국주의에 감화받은 선각자 유길준, '애국'을 자처하기엔 민망한 구한말의 계몽운동 등에 대한 그의 설명이 그것이다. 그는 국가주의가 개인에 가하는 폭력, 민족주의가 타민족에게 가하는 폭력과 억압, 남성우월주의, 가부장독재가 여성에 가하는 억압, 동성애자나 대처승 등 성적 소수자에게 가하는 부당한 억압 등 근대의 망령을 폭로한다.  

그는 이 망령들에 대한 '동아시아의 멋진 반란'을 위하여, 일찍이 1920~1930년대에 있었던 공산주의운동이 보여준 '반란성의 회복'을 위하여 이 책을 썼다고 한다. 하지만 너무 나가지 않았나 싶다. 예를 들어 그가 말하는 동아시아민중의 연대란 무엇인지 알 수가 없다. "세계의 공장이 된 중국에서 노동자들의 임금수준이나 노동환경, 고용형태에 대해서 한국의 노동운동가와 시민운동가들이 진지한 관심을 보여야" 한다는데, 이게 가당키나 한 말인가. 3국 각국의 민족주의가 국수주의, 배외주의로 나가 서로 충돌하는 걸 막기위해 양심있고 지각있는 동아시아 3국 국민들의 연대와 반항이 필요할 것이다. 그러나 국가주의나 남성우월주의, 가부장제, 다수파의 폭력과 억압은 기본적으로 각국 내에서 해결할 문제 아닌가. 이러한 문제에서 3국은 사정이 제각기 다르기 때문에 연대를 하려고 해도 불가능하다고 본다.

또 이선근이나 박종홍 등 저명한 인문학자들이 박정희의 통치에 이념적 조력자로 적극 협력한 것을 두고, '인문학, 깡패의 칼이 되다'라 했는데, 참으로 듣기에 민망하다. 집권기간 동안 철권을 휘둘렀다고는 하나 한국을 18년간이나 통치하고 한국을 경제사회의 근대화로 이끈 인물을 깡패로 표현하다니 말이 되는가. 또 징병제나 군대복무를 군국주의, 군사주의와 동일시하는 것도 지나쳐서 거북하다.

사회에 삐딱이도 필요하겠지만, 지금 우리에게는 건전한 비판의식을 개발하는 데 도움을 줄 '균형잡힌'(?) 역사가가 필요한 것 같은데...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