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절 - 90년대 이후 중국사회, 2007 한국간행물윤리위원회 11월의 책, 2008 대한민국학술원 우수도서
쑨리핑 지음, 김창경 엮음 / 산지니 / 2007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중국 알기는 이제 한국인의 국민적 과제가 되었다. 갈수록 중국의존도, 아니 중국과의 교류도가 중요해지고 있기 때문이다. 그래선지 중국 관련 책이 나올 때마다 괜한 압박심리를 느끼게 된다.

단절이라 이름붙인 이 책의 본명은 단열(斷裂)이다. 이미지 면에서 단절은 크게 둘로 나뉘어 끊겨 있는 모습인데, 단열은 그보다는 여러 갈래로 찢긴, 갈라진 모습에 가깝다. 아마 단열이란 말이 중국식 한자어이기에 이렇게 옮겼으리라.

저자 쑨리핑이 본 중국사회는 여러 갈래로 찢긴 모습이다. 전체로 무서운 기세로 성장하는 사회지만, 그 주역으로서 성장의 혜택을 듬뿍 누리는 집단이 있는가 하면 부스러기밖에 얻지 못하는 집단도 있고, 완전히 소외된 집단도 있다는 것이다. 다른 나라에서 유례를 찾을 수 없는 도농간의 심각한 격차, 도시내의 격차, 경제성장에도 불구하고 정체된 도시화, 심각한 실업 및 과잉노동력 문제, 사회안전망의 부재에 다른 과잉저축과 내수경기의 침체, 신뢰의 위기 등 중국이 안고 있는 문제를 잘 설명해 주고 있다.

그는 이 문제를 중국이 서구나 일본, 한국과는 다른 길을 걷는 데서 생기는 문제로 본다. 후진국에서 성장의 시동이 걸려 확산되는 것을 지칭하는 trickle-down이 중국에서는 잘 안된다고 설명한 것이 그 예다. 그러나 중국의 길이 서구나 일본, 한국 등 그보다 현재 앞서 있는 나라들이 간 길과 크게 다른지는 의문이다. 중국은 인구상 너무나 거대한 국가여서 경제성장의 시동이 걸린지 한참 지난 지금도 그 파급효과가 농촌, 오지에까지 아직 미치지 못한 것이 아닐까 한다.

장님 코끼리 더듬기가 아니라 개미 코끼리 기어가기라고 할 정도로 중국 알기는 쉽지 않은 일이다. 그 한 부분을 소개해주는 책으로서 이 책은 유용하다고 본다. 다만, 저널리스트가 쓴 그간의 중국 소개 번역서와 달리 대학교수가 쓴 책이라서인지 읽는 '재미'는 덜한 편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