센서티브 - 남들보다 민감한 사람을 위한 섬세한 심리학
일자 샌드 지음, 김유미 옮김 / 다산지식하우스(다산북스) / 2017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사람은 외향적 또는 내향적인 성격을 가지고 있다. 외향적과 내향적의 사이에는 더 세분화된 성격들이 존재하며, 개개인의 상황에 따라 더 구체적으로 나눠질 거라 생각한다. 하지만 생각만으로는 정의되지 않는 성격 중에 내향적이 아닌 ‘예민함’이 존재한다. 어떤 성격이 예민함을 말하는지 아는 사람도 있고, 모르는 사람도 있을 것이다. 하지만 보통이 생각하는 예민함과는 다른 예리한 예민함을 ‘센서티브’에서는 말하고 있다. 예민함을 가진 사람들은 다른 사람들에 비해 조금 더 민감하게 반응한다. 이를 저자는 감정을 느낄 수 있는 더 많은 바탕을 가지고 있다고 표현했다. 사실 이게 맞는 말이라고 생각한다. 누구보다 예민하기 때문에 동일한 상황에서도 더 감정이 요동치거나 반응을 지나치게 할 수 있다. 하지만 그게 그 사람의 문제가 아니라, 단지 그 사람이 가진 바탕이 넓어서라고 표현하는 것이 옳다고 생각한다.

 

예민함은 특정한 사람이 가진 것이 아니라고 생각한다. 생각해보면 엄청 활달한 성격을 가진 외향적인 사람일지라도 부분적으로는 외향적인 면을 가지고 있다. 그 사람들 역시 남이 보기에는 별일 아닌 것에 상처를 받고 크게 생각할 때도 있다. 내향적인 성향을 가진 사람은 말할 것도 없다. 누구나 ‘예민함’이라는 성향을 가지고 있지만 정도의 차이 또는 크기의 차이 정도로 생각된다. ‘센서티브’를 읽다보면 이 예민함을 가지고 있는 모든 사람들이 이해받을 수 있겠다는 생각이 든다. 누군가가 예민함 또한 옳다고 표현해주는 것도 중요하지만, 이 예민함이 어떤 면에서 다른 성향에 비해 나은 점이 있는지를 알려주는 것도 중요하다. 개인적으로도 이 예민한 구석이 발동할 때가 있다. 사람들과의 관계에서 가장 잘 시동이 걸리는데, 다른 사람이었다면 상처받지 않을 일에 상처받고 스스로를 드러내기 꺼려한다. 하지만 ‘센서티브’를 통해 그것이 꼭 움츠려야만 하는 성향은 아님을 알 수 있었다.

 

예민한 자신의 감각을 탓하지 않고 개인의 능력으로 길러낼 수 있는, 어쩌면 그 감각이 도리어 자신에게 좋은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것을 알려주는 책이었다. 어떤 성향을 가진 것이 중요한 게 아니라 스스로가 원하는 방향으로 잘 이끌어 나가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센서티브’, 자신이 적어도 조금의 예민함이라도 가지고 있다는 생각이 들면 이 책을 읽기를 추천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