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차 산업혁명 어떻게 시작할 것인가
한석희 외 지음 / 페이퍼로드 / 2016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과학 기술의 발전, 그로 인한 우리 생활의 편안함과 안락함은 모두가 한 번 씩은 들어본 말일 것이다. 학창시절에 교과서에 나왔거나 뉴스를 보기만 해도 간혹 기술의 발전에 대한 기사거리가 쏟아지기 때문이다. 지난 과거를 돌이켜보면 지금의 변화가 너무나도 크게 느껴지지만 사실 하루하루 변화하는 모습에 크게 반응하지는 않았다. 아마도 그 이유는 매일 같이 보는 사람이 달라진다고 해도 엄청난 변화가 아닌 한 잘 알아차리지 못하는 이치와 같은 것이 아닐까란 생각을 해본다. 지금의 30대는 디지로그 세대이다. 아날로그를 경험했고 디지털 시대로 넘어오는 과정을 겪은 세대이다. 디지털 시대를 살아가고 있는 지금 아날로그에 대한 향수도 있지만 때로는 어떻게 그 시절을 살았을까 하는 생각이 들 때도 있다. 하지만 지금 이 디지털 시대도 변화를 꾀하고 있다. 기술이 지금까지 발전되었다면 앞으로 발전해 나가는 것은 당연한 일이기 때문이다.

 

공중전화를 이용하던 세대에게 상상할 수 없었던 스마트폰은 우리 생활에 없어서는 안 될 존재가 되었다. 이러한 변화들이 앞으로 더 변화를 겪는다면 바로 4차 산업혁명이다. 4차 산업혁명에 대한 책들이 간혹 보이고 접하기는 하지만 사실 하루 바삐 살아가는 입장으로 크게 와 닿지는 않았다. 게다가 어려운 기술 용어들은 접근하는 데 방해자 역할을 톡톡하게 하기도 했다. 나이가 점점 더 들면서 디지털 기계 사용에 대한 미숙함과 어려움을 느끼기 전에 기술의 발전에 대한 공부가 필요하다는 생각이 들었다. 그리고 그 공부에 대한 도움을 주게 된 것이 바로 ‘4차 산업혁명 어떻게 시작할 것인가’이다. 4차 산업혁명은 저자에 의하면 디지털화, 연결화, 스마트화 3개의 단계를 거치게 된다. 책 내용 역시 각각의 단계들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을 담고 있다. 지금은 로봇이 일반적이지 않은 시대이지만 점점 로봇의 비중이 커지면 로봇과 함께 생활하는 SF 영화 속 한 장면이 오늘의 일상이 될 수도 있다는 생각이 계속 들었다.

 

점차 변화를 꾀하는 기술에 발 맞춰 직업을 바꾸거나 삶의 태도를 바꿀 수는 없겠지만 현실에 대한 빠른 이해는 무엇보다 필요하다는 생각이 들었다. 어떤 과정을 거쳐 지금의 결과에 도달했고, 또 지금의 결과는 또 다른 결과의 과정이 될 것이기 때문에 무엇보다 ‘이해’는 무척 중요하다. 4차 산업혁명에서 손꼽히는 몇 개의 키워드를 공부하고 배워간다는 입장에서 강의를 듣는 느낌이 들었다. 과학 기술과 멀리 떨어져 이러한 내용에 어려움을 느끼는 사람조차 쉽게 이해하고, 실생활에 반영되어 있는 기술들을 다시 돌아볼 기회를 주기도 한다. 미래의 내 모습이 어떨지 궁금하다면 나와 함께 할 기술들이 어떻게 변화할지 궁금하다면 이 책을 추천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