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택하지 않을 자유 - 결혼과 비혼에 관한 새로운 태도
이선배 지음 / 허밍버드 / 2016년 11월
평점 :
절판


우리가 살아가는데 당연하게 생각되는 것들이 있다. 이는 법으로 정해진 것은 아니지만 다른 사람들이 하기 때문에 하지 않을 수 없는 상황에 처한 ‘당연한 것들’을 말한다. 지금은 조금씩 달라지고 있지만 여전히 꼭 대학에 가야만 하고, 좋은 직장을 잡고, 결혼을 해야 하는 일종의 순서 같은 것이다. 가끔 여러 매체를 통해 이러한 고정된 순서에 대한 비판도 나오지만 현실적으로 벗어나기는 쉽지 않다. 이 순서를 벗어나는 선택을 하게 되면 다른 사람과 다르게 살아가는 것으로 보이게 되기 때문이다. 선택은 다양한 상황이 주어지기 때문에 할 수 있는 것임에도 불구하고 우리가 선택할 수 있는 일을 별 것이 없다. 다른 선택은 곧 평범하게 살지 않는 길이 되기 때문이다. 그런 평범하지 않은 길 중에 하나가 ‘비혼’이다. 혼자 밥 먹는 것도 평범하지 않게 보는 시선들이 많은데, 하물며 혼자 사는 일이다. 결혼을 선택한 사람들은 결혼은 하지 않는 것이 더 좋다고 말을 한다. 하지만 ‘선택하지 않을 자유’에서 말하는 것과 같이 결혼 또는 비혼, 두 가지 중 더 좋은 것을 말하는 것은 옳지 않다.
  
비혼이라는 단어를 접하게 된 것은 최근 들어서인 것 같다. 주로 미혼, 독신 등의 단어로 표현되다가 비혼이라는 말을 들으니 조금 더 전문적인 느낌이 든다. 이를 바라보는 용어처럼 시선도 변화가 일어나면 좋을 것 같다는 생각이다. 비혼에 대해 정의가 내려진 것, 그리고 어떤 것이 진정한 비혼의 삶인지에 대한 것 등은 아직 정해지지 않았다. 이 역시나 아직은 만들어가는 과정이라고 생각한다. 이 책은 비혼인 저자가 쓴 책이 아니다. 하지만 비혼에 대한 생각을 가지고 있었던 터라 가려운 부분을 제대로 긁어주고 있다. 혼자라는 삶이 주는 편안함과 자유, 그리고 함께라는 삶이 주는 안정감과 유대는 비교할 수 없다. 그 어떤 것이 좋으니 이쪽으로 오거나 저쪽으로 가거나라는 말은 결국 선택을 강요하는 상황이 된다. 결혼을 하고 하지 않고에 대한 선택 역시 다양할 수 있듯 비혼과 결혼의 비교 역시 다양할 수 있다. 모든 사람이 가진 성향이 다르고 원하는 바가 다른데 그들의 선택이 다 같을 수는 없고, 같을 필요도 없지 않을까란 생각이다.
  
‘선택하지 않을 자유’를 읽으면서 조금 더 빨리 스스로 자신을 돌아보고 진정한 선택을 할 수 있었으면 좋았겠다란 생각이 들었다. 이미 자신에 대한 생각이 확고한 사람들은 비혼 또는 결혼에 대한 선택이 빠르기도 하니 말이다. 늦은 감이 없지는 않지만 앞으로라도 나에 대한 생각을 조금 더 깊이 해봐야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