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성향은 어떻게 결정되는가 - 타고난 성향인가, 학습된 이념인가
존 R. 히빙.케빈 B. 스미스.존 R. 알포드 지음, 김광수 옮김 / 오픈도어북스 / 2025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리뷰는 출판사에서 도서를 제공 받아 직접 읽고 작성한 리뷰입니다.


정치 성향이란 게 결정된다면 어떻게 결정되는지 궁금하던 찰나였다. 누군가에겐 신념이고, 누군가에게는 신념까지는 아닐 수 있다. 정치 성향으로 사람들이 울고 웃고 하는 과정에서 우리는 이들의 정치 성향이 어디로부터 왔는지 한 번 살펴볼 필요가 있다. 이 책은 정치 성향이 어디에서부터 기원되는가에 대한 근본적인 질문부터 던진다. 정말 신기하게도 정치 성향의 시작점은 생물학적 성향을 고려하는 데서부터이다. 생물학적 성향은 정치 성향만 결정하는 것은 아니다. 성적 지향에 생물학이 역할을 하듯, 정치 성향 역시 이에 연결되어 영향을 받는다는 것이다. 그렇다면 우리는 애초에 태어날 때부터 정치 성향이 정해졌다고 말할 수 있는가? 그렇다면 인간이란 태어날 때부터 이쪽 또는 저쪽 이분법적으로 나누어져야 하는데, 정치를 보면 우리가 단 둘로 쪼개질 수 없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진보, 보수, 중도 등 그 외에 다양한 정치 성향이 있기 때문이다. 


저자는 정치와 연관된 성향을 상호 연결된 심리적 지향과 취향, 인지 패턴, 생리 반응, 유전적 특징 4가지로 제시하고 있다. 이와 관련된 내용 중 눈여겨 봐진 부분은 '성격 유형'에 대한 부분이다. 정치적 성향과 성격 유형이 어느 정도 맞아 떨어진다는 이야기인데, 개방적인 사람 또는 성실성 점수가 높은 사람으로 나누었을 때 각각 진보와 보수의 성향을 가질 수 있다는 것이다. 더욱 재미있는 것은 유전적 영향도 무시할 수 없다는 것이다. 부모가 자녀에게 부모의 신념 또는 이념을 이어가게 할 수도 있지만(일종의 교육을 통해서), 유사한 유전자를 갖고 있기 때문에 그들은 비슷한 정치 성향을 갖게 될 확률 또한 높다고 말한다. 그렇다면 빠질 수 없는 게 바로 쌍둥이의 정치적 성향이다. 일란성 또는 이란성, 그리고 떨어져 자란 쌍둥이에 대한 성향까지 어떨지에 대해 이 책에서는 다루고 있다.


이 책에서 말하고자 하는 것은 다양한 요소들이 개인의 정치 성향을 만들겠지만 결론적으로 모든 것을 포용하는 것이 답이다라고 한다. 누군가의 성향이 이렇든 저렇든, 비난하지 않고 타고난 요소도 있고, 그렇지 않은 것일 수도 있다. 어떤 게 옳다 그르다 싸우기 보다는 그들의 성향이 어디서부터 기원했는가를 한 번쯤 생각해보면서 이해하는 것도 나쁘지 않다는 생각이 들었다. 정치에 관심이 많아지면서 많은 사람들이 자신의 정치 성향을 갖게 된다. 누군가에 의해서가 아닌 진짜 자신에게 맞는 정치 성향이 무엇인지 알고, 갖게 되는 게 중요하지 않을까란 생각이 든다. 정치 성향에 관심이 있는 사람 그 누구라도 이 책을 통해서 자신의 정치 성향이 어디서부터 왔는지 한 번 살펴보는 것도 좋을 듯 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