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뇌가 힘들 땐 미술관에 가는 게 좋다 - 더 아름다운 삶을 위한 예술의 뇌과학
수전 매그새먼.아이비 로스 지음, 허형은 옮김 / 윌북 / 2025년 4월
평점 :
이 리뷰는 출판사에서 도서를 제공 받아 직접 읽고 작성한 리뷰입니다.
뇌가 힘들 때 왜 미술관에 가라는거지라는 생각이 절로 떠오르는 제목을 가진 책이다. '뇌가 힘들 땐 미술관에 가는 게 좋다'라는 제목을 가진 이 책은 뇌과학을 기반으로 왜 우리가 예술을 통해 뇌의 과부하를 줄여야 하는지에 대해 말해준다. 이 책의 초반에는 아주 멋진 그림들이 실려있다. 책 속에서 저자는 가끔 앞을 열어서 뇌의 그림을 보라고 말해주는데, 뇌를 그렸다고 믿기지 않을 정도로 하나의 '예술 작품'이다. 아름답다 또는 예쁘다라는 말로는 표현되지 않는 부분이 있을 정도의 아름다움이다.
우리에게 뇌과학은 약간 어려운 영역이지만 뇌의 구석구석 이름을 읽고 있자면 나의 뇌와 친해지는 느낌이 든다. 이 뇌와 좀더 친해지려면 왜 미술관에 가야 하는지를 알아야 한다. 우리가 가장 쉽게 접근할 수 있는 것이 바로 '스트레스'이다. 이 스트레스를 우리가 받게 되었을 때 우리는 스트레스에 적응하려고 한다고 한다. 주말까지 이 스트레스를 끌고 갈 수 없다는 마음이 발동하면서 스트레스를 이겨내려는 것이다. 이때 음악이 효과적이라고 한다. 마음을 가라앉히기 위해 음악을 듣는 사람이 있을텐데, 우리의 마음에 안정을 가져오려면 음악이 효과가 있다는 것이 옳았다. 물론 마음의 안정은 뇌로부터 오는 것이기 때문에 뇌의 자극을 음악이 완화시켜줘야 한다고 할까. 저자는 소리는 스트레스 완화에 있어 최고의 도구라고 설명한다. 물론, 단순히 소리가 완화하는 것은 우리가 무언가를 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이라는 설명을 덧붙였다.
음악이나 소리만 우리 뇌에 작용하는 것은 아니다. 그림을 그리는 시각 활동 역시 뇌에 작용해서 우리에게 안정을 가져다 준다. 그러다 보니 예술의 모든 면모가 뇌와 관련되어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고, 그로 인해 저자는 뇌가 힘들 때 예술을 접하라는 의미에서 '미술관에 가는 게 좋다'로 말하는 것이다. 교육과 관련된 주제가 실려있는데 관심 있게 보게 된 것은 바로 주입식 교육에 대한 부분 때문이었다. 우리는 강의식, 주입식과 같은 형태의 교육을 받아왔고, 그로 인해 뇌는 그렇게 적응하고 있는 줄 알았다. 하지만 뇌는 진화하는 존재라고 한다. 그렇게 때문에 강의식, 주입식 형태의 교육은 어울리지 않는다는 것이다. 뇌에게 필요한 것은 딱딱한 내용보다 말랑한 내용이 더 어울린다고 볼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말랑한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서 우리는 예술을 가까이 하고, 거기서부터 얻는 것들이 있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참고로 언어도 예술의 한 부분으로 뇌와 관련되어 있다고 한다.
성인이 되면서 사람들은 예술과 점점 멀어진다고 한다. 바쁜 삶 속에서 예술의 진짜 면모를 알아볼 시간 조차 없다는 것은 사실이다. 하지만 우리의 뇌가 예술을 기다리고 있고, 우리에게도 꼭 필요한 예술이니 한 번 쯤 쉬어가며 예술을 접해보는 것은 어떨까. 미술관에 가야 할 때가 언제인지 알아차려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