귀족 시대 - 로맨스 판타지에는 없는 유럽의 실제 역사
임승휘 지음 / 타인의사유 / 2024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작성한 주관적인 리뷰입니다.


현대 사회에서 귀족은 조금 먼 이야기이다. 아직 유사한 형태로 귀족이 남아 있는 곳도 있지만 대부분 사라진 계급 중의 하나이다. 우리는 경험해보거나 확인해보지 못한 귀족에 대한 이야기를 어떻게 풀어낼 수 있는가에 대한 호기심이 일어나는 책이었다. 총 4가지의 챕터로 구성되어 있는데, 처음은 키워드로 읽는 귀족 문화이다. 그 다음은 귀족의 일상을 엿보고, 역사에 이름을 남긴 귀족을 알아본다. 마지막은 귀족의 세계에 대해 살펴보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귀족이라고 하면 예전에 우리가 잘 알지 못하던 시대에 있던 하나의 계급으로 생각되어진다. 엄청난 크기의 의상과 머리 장식 등이 떠오르기 마련인데, 사실 귀족을 증명(?)하는 것은 블루 블러드였다고 한다. 아주 하얗고 투명한 피부에 피부층에 혈관이 드러나는 것을 보고 귀족의 피라고 했던 것이다. 아무도 진짜 귀족의 피가 파란색이라고 생각하지는 않겠지만, 적어도 그들만의 상징이 자리잡았던 것은 일부분 이해가 간다. 핏줄은 피부 표면에 보일 정도가 되면 파랗게 보여진다고 한다. 그래서 블루 블러드였다고 하는데, 당시에는 이것이 바로 귀족의 상징이었다.


우리에게 많이 알려진 것 중에 하나는 귀족의 예절이다. 그들이 지켜야 했던 예절 중에는 스프에 빵을 담그지 말라, 나이프로 이를 쑤시지 말라 등이 있다. 나이프를 이쑤시개 형태로 사용했던 것 같은데 가능한지는 모르겠다. 당시의 사람들이 이빨이 유독 컸던 것인가 싶기도. 또 하나 뺴놓을 수 없는 것이 귀족 자녀들의 교육이다. 그들은 그랜드 투어라는 것을 다녔다고 하는데, 교육을 위한 여행, 여행을 위한 교육 그 어떤 것인지 모를 정체의 투어였다고 한다. 소위 해외로 돌아다니면서 전리품을 챙겨서 돌아와 뽐내는 것이 하나의 투어였다고 하니, 귀족다운 느낌이 들었다. (물론 약간은 부정적이게 말이다.) 귀족에게 필수조건이나 다름 없는 무도회도 있다. 사교계에 진출하는 것은 곧 결혼 시장에 나오는 것이었다고 한다. 당시에는 집안과 집안끼리의 만남이 꽤 큰 이득을 가져다 주기도 했기 때문에 사교계의 여왕이 등장한 것이다. 가문을 상징하는 문장들에 대한 이야기도 나오는데, 그 와중에 서자는 가문의 문장을 사용할 수 있는 있되 사선으로 선을 그어 표시했어야 한다고 한다. 이는 가문에서 어떤 것도 물려받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귀족 세계를 읽다보니 귀족들의 삶이 좋아보이지만은 않다는 생각이 들었다. 그래도 역사에 이름 남긴 귀족들을 보면서 모두가 이렇지 않다는 것에 대한 인식을 좀 하게 되었다. 판타지 소설 같은 내용이지만 실제 귀족이 살았던 당시의 이야기를 담고 있어, 흥미진진한 부분이 무척 많았다. 귀족 시대가 어떤 건지 궁금하다면 귀족사 수업을 듣는 것 같은 느낌인 이 책을 선택하면 좋을 듯 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