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공학이 일상으로 오기까지 ㅣ 한 번에 이해하는 단숨 지식 시리즈 3
마이클 맥레이.조너선 베를리너 지음, 김수환 옮김 / 하이픈 / 2024년 10월
평점 :
공학이라는 분야는 우리 생활과 아주 밀접하지만, 전공자나 관련 전문가가 아니면 관심을 갖기에는 조금 어려운 분야이다. 이 책은 공학을 어렵게 생각하는 사람들을 위해서 공학이 무엇인지, 공학과 접목되어 있는 분야가 어떤 것인지 세분화하여 설명하고 있다. 가장 마지막에는 기술 연대표가 실려있는데 우리에게 가장 큰 영향을 미친 발명품부터, 기원전 1만년에서 21세기까지의 연대표를 살펴볼 수 있다. 우리가 지금 편리하게 사용하는 것들 중에 공학적 진화를 거쳐온 거이 많다. 바퀴도 그렇고 휴대전화도 그렇다. 지금은 핸드폰으로 손쉽게 들을 수 있는 음악도 아주 오래전에는 LP판을 이용해서 음악을 들어야 한다. 이 과정을 거칠 수 있도록 만든 것은 여러 시대를 지나오면서 존재했던 엔지니어들이다.
이 엔지니어들은 공학이 일상에 오기까지 많은 역할을 한다. 수학과 공학의 접목을 살펴볼 수 있는데, 우리가 일반적으로 접하지는 않지만 3D 프린터의 존재를 알고 있다. 이 프린터가 인쇄할 위치를 정하는데 수학적 모델을 활용한다고 한다. 이게 바로 기하학이다. 또 다른 공학과의 접목은 건축이다. 우리가 더 깊게 지하로 파고 들어서 건물을 건설하거나 높은 빌딩을 볼 수 있는 것은 바로 이 공학과의 접목때문이다. 더불어 달에 정착하기 위한 노력에도 공학이 사용된다. 인간이 화성까지 가는데 지금은 7개월 정도의 시간이 걸린다고 한다. 아무것도 없는 곳에서 인간이 정착하려면 많은 시간과 연료가 필요하니 인간이 도착하기 전에 3D 프린터를 이용해 집을 짓는다고 한다. 이외에도 동력, 기계, 운송수단, 화학, 생명, 통신 등 다양한 분야가 공학과 접목되어 우리 일상에 스며들어 있다.
마지막에는 미래의 공학이 어떻게 될지에 대한 이야기를 다룬다. 미래의 공학은 우주를 향해있다. 우주로 향하는 엘레베이터가 만들어진다거나 화성에서 살 수 있는 터전을 마련하는 것이다. 공학의 범위가 생각할 수 있는 범위 그 이상으로 넓다는 생각이 들었다. 여전히 공학적으로 불가능한 주제가 있는데 그것은 시간을 빠르게 하는 것이다. 영화에서나 볼법한 이야기이지만 이또한 언젠가는 우리 일상에서 쉽게 접할 수 있는 공학이 되지 않을까 생각된다. 공학이라고 하면 단순하게 기계 공학만 떠올렸었는데 다양한 분야와 접목되어서 여러 가지 결과물이 나온다는 것을 이 책을 통해 알 수 있었다. 공학 분야를 조금 재미있게 느껴보고 싶은 사람이 있다면 이 책이 좀 도움이 되리라 생각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