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안의 끝에서 쇼펜하우어, 절망의 끝에서 니체 - 방향 잃은 삶을 위한 철학 나침반
강용수 지음 / 21세기북스 / 2024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철학이라는 소재를 그다지 좋아하지 않는 사람이 많을 것이다. 대체적으로 지루함을 느끼거나 전혀 끌리지 않는 소재이기 때문이다. 하지만 철학을 담아내는 책들이 꽤 많이 쏟아지고 있는 현재, 우리는 철학에 대한 관심을 두어야 할 때가 되었다 생각된다. 이 책은 쇼펜하우어, 니체 두 학자들의 '철학'을 담고 있다. 모든 철학을 다 담고 있지는 않지만 우리 인생에서 고민되는 지점들을 철학으로 아주 명쾌하게 풀어내었다. 그렇기 떄문에 혹자들이 고민하는 지루해서 읽기도 싫다는 걱정은 하지 않아도 될 듯 하다. 총 16개 챕터로 구성되어 있는 이 책은 쇼펜하우어와 니체가 반반 나누어 잘 구성되어 있다. 철학자의 느낌이 다른 것까지 느낄 수 있다면 더 좋겠지만, 초심자가 읽기에는 내용을 흡수하는 것만으로도 충분하다. 인생에 있어서 우리는 우울감을 느끼거나 운명을 원망하거나 나보다 더 운이 좋은 사람을 부러워 한다. 그럴때마다 해결책 없는 인생을 괴로워하기도 한다. 이런 고민들의 해결책이 이 책 안에 담겨 있다고 생각하면 된다. 그렇다면 내용을 좀 살펴보자.


개인적으로는 '내가 나를 구제할 수 있는가'에 대한 파트가 가장 기억에 남았다. 나를 구제할 수 있다니 가능해라는 생각을 하는 사람과 나는 나만 구제할 수 있다 생각하는 사람 양극화가 아닐까 생각한다. 니체가 말하는 내가 나를 구제하는 방법은 '인정'하는 것이다. 주로 나를 구제 못하는 사람들은 과거 자신의 행동을 인정하지 않는 상황에서 발생한다. 물론 과거만이 아니라 자신이 한 행동을 인정하는 것 자체 모두가 포함된다. 사례로 고등학교 때 너무 노는 것을 좋아해서 그 이후의 인생 경로가 꼬이고 있단 생각이 든다면, 이 때 우리가 인정해야 할 것은 "난 참 고등학교 시절 노는 걸 좋아하는 사람이었다"라는 것이다. 이 부분을 인정하지 못해 나 자신을 구제하지 못한다고 하는데, 사실 인정하는 게 가장 어려운 일일 수도 있겠다 생각이 든다. 뭘 인정해야 할지 모르는 사람들이 더 많을 수도 있으니 말이다. 하지만 우리는 답을 찾을 수 있었다. 바로 '인정'이다.


결혼에 대한 고민도 많은 사람이 하지 않을까 한다. 결혼이라는 제도 하에 어떤 사람과 평생을 살아야 하는지에 대한 고민일텐데, 이에 대한 고민도 명쾌하게 해결된다. 남편, 아내 할 것 없이 서로에게 필요한 건 나이가 들어서도 즐겁게 대화하고 친구처럼 지낼 수 있느냐가 중요하다. 결혼에는 다른 목적과 필요가 있지만 가장 중요한 것은 서로 간의 '우정'이라는 것이다. 나와 가장 친한 친구가 바로 배우자가 되어야 결혼에서 행복을 찾을 수 있다. 이외에도 다양한 소재들이 담겨져 있다. 내가 누구인지 살펴보기도 하고, 원하는 대로 살 수 있을까에 대한 고민도 한다. 철학을 다루고 있지만 우리 일상과 밀접하게 엮여 있어서 많은 도움이 되는 문장들이 많다. 책의 일부 중 20대, 30대, 40대를 계절에 비유한 부분이 있다. 봄, 여름, 가을, 그렇다고 해서 50이 겨울이 아니라고 한다. 우리 인생은 겨울을 맞은 것처럼 고통스러운 상황까지는 가지 않는다는 문장이 맴도는 책이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