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대예보: 호명사회
송길영 지음 / 교보문고(단행본) / 2024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시대예보 : 핵개인의 시대'를 읽은 사람들은 대부분 이 책을 선택하지 않았을까 생각한다. 송길영 저자의 책이 말하고자 하는 내용은 요즘시대를 살아가는 사람들이 느끼는 것, 생각하는 것을 다 아우르고 있기 때문이다. 꼭 읽어봐야 할 책으로도 많이 알려져 있는데, 전작과 더불어 이번 역시 꼭 읽어봐야 하는 책이다. 시대예보라는 제목은 같지만 뒤에 붙은 부제가 전작과 이번이 다르다. 전작은 '핵개인의 시대'였다면 이번에는 '호명사회'이다. 저자가 말하고자 하는 결론이 바로 '호명사회'이다. 우리가 핵개인화되어서 결국 자신의 이름이 호명되기에 이르기까지의 미래를 그려낸 내용을 담고 있다. 처음부터 우리는 핵개인의 모습을 갖고 있지는 않았다. 우리 사회에서 만들어 내는 불안한 뉴스, 시뮬레이션이 가득한 상황 등으로부터 비롯되어진다. 이 책이 가진 매력이라면 우리가 평소 그렇게 느끼고는 있지만 콕 집어서 말하지 못했던 부분들이 전부 다 실려있다는 것이다. 그 중 하나는 뉴스에서 다루는 기사들은 대부분이 불안한 사건 등이다. 즐겁고 행복한 사건보다 이런 유형의 기사들이 더 많이 실리고 이는 미디어라는 업의 특성이다.


불안한 사회 속에서 우리는 과잉 경쟁을 하게 되었다. 시뮬레이션을 통해 어떤 스펙들이 취업에 유리한지 확인하고, 최대한 끌어모아 스펙을 따 두었다. 하지만 스펙은 쌓일수록 남들과 달라야 한다는 압박이 온다. 그렇게 해외 경험까지 스펙에 추가된다. 게다가 이제는 인공지능의 발달로 인해 웬만한 것들은 자동화를 이루고, 인간이 굳이 하지 않아도 될 일들이 많아지게 된다. 그 와중에 우리가 무엇을 해야 할지에 대한 고민이 많은데 저자는 우리가 자신만의 고유성을 가져야 한다고 생각한다. '다시 만나고 싶은 사람'이 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스페인에서 하몽을 썰어주는 일을 하는 사람이 있다고 한다. 하몽을 오랜 기간 썰어서 근육이 탄탄하게 자리잡은 사람인데, 이 사람은 레스토랑에서 다시 만나고 싶은 사람이라고 한다. 이처럼 자신의 영역에서 자신만의 고유성을 갖고 있어야 앞으로의 시대에서 살아남을 수 있다. 또 하나의 변화는 '가족의 형태'이다. 점차 작아지는 가족 구성원을 넘어서 우리는 우리가 가진 성향에 따라 '가족'을 구성하기도 한다. 춤을 좋아하는 사람이 '주어진 가족'을 넘어서 '선택의 연대'를 갖게 되는 것이다.


개인의 자립이 중요해지는 사회, 그리하여 우리는 서로의 직급이나 상황이 아닌 '이름'을 부르거나 불리게 된다. 어떤 원인으로 인해 결국 '호명사회'가 되는지에 대해 궁금한 사람들이 있었다면 그 궁금증은 시원하게 해결될 정도의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다. 탄탄한 구성에 읽는 순간순간 감탄이 나오는 명료한 문장들이 앞으로의 시대예보를 '정확화게' 하는 듯 한 느낌이 들었다. 기술의 발전, 세대의 변화 등으로 인해 순식간에 바뀌는 상황들이 적응되지 않는 사람들, 앞으로 무엇을 해야 할지 모르겠는 사람들, 그리고 자신의 업이 자신이 원해서 하는 게 아니라고 생각하는 사람들이라면 이 책에서 답을 찾을 수 있을 것이다. 개인적으로 책에서 나온 대학생들 인터뷰에서 자신들이 지금 원해서 해당 대학을 온 것이 아니라는 답변이 많았다는 것, 그리고 은퇴할 때쯤에 자신이 이 일을 원한 게 아니었단 말하는 사람들에 대해 나오는 부분이 가장 기억에 남았다. 우리도 지금 이렇게 살고 있는 것은 아닐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