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한 끗 어휘력 - 어른의 문해력 차이를 만드는
박선주 지음 / 매일경제신문사 / 2024년 10월
평점 :
요 근래에 문해력에 대한 이야기가 많이 보인다. 젊은층이자 새로운 세대를 중심으로 신조어가 많이 생겨나면서 사람들의 문해력이 점점 떨어지고 있다는 내용이다. 저자 역시 문해력에 대한 이야기를 먼저 짚고 들어간다. 별 것 아닌 단어들이지만 한 번쯤 (어쩌면 그 이상) 우리는 인터넷에 의미를 검색해 본 경험이 있다. 이해를 못하는 것에서 비롯되는 이 현상은 우리가 어휘에 대한 이해가 부족하기 때문이다. 한국어는 저자의 표현에 의하면 매우 섬세한 언어이다. 표현자체를 섬세하게 해야 하는 단어들이 많고, 점이 하나 있고 없고 단촐한 차이에서 엄청난 의미의 차이가 나타난다. 올바르고 정확하게, 그리고 섬세하게 표현해야 하는 한국어를 위해 저자는 총 3단계에 걸쳐 각종 헷갈릴만한 단어(이자 어휘)를 소개하고 있다. 읽다보면 내가 이건 알고 있었다 싶은 것도 있고, 세상에 아예 모르고 있었던 사실도 발견된다. 그 중 하나가 바로 꼽다와 꽂다이다. 이어폰을 꼽다, 꽂다라는 표현을 사용하게 되는데 여기서 정답은 어떤 것이라고 생각되는가. 바로 꽂다이다. 편리한 메신저를 이용하거나 짧게 표현하기 위해 줄임말 등을 사용하면서 이걸 꼽는 것인지 꽂는 것인지도 헷갈리는 것이다. 이외에도 난이도와 난도, 어떤 때에 사용하는 것이라고 생각되는가. 둘 중에 하나는 정말 어려운 문제가 등장했을 때만 사용하는 것이고, 나머지 하나는 우리가 일반적으로 생각하는 어렵고 쉬운 것에 대한 것을 나타낸다.
올바르게 표현하기 영역에서는 ‘사단과 사달’이 있다. 사단났다, 사달났다 과연 어떤 것이 우리가 생각하는 정말 큰일났다를 의미하는 것일까. 이런 별 것 아닌 차이로 의미가 헷갈리기 시작하면 우리는 바로 인터넷 검색을 이용하게 되는 것이다. 하지만 적어도 이 책을 읽고나면 딱 헷갈리기 좋은 단어들의 정확한 의미를 알 수 있고, 더는 헷갈리지 않을 수도 있다. 그 다음은 정확한 표현이다. ‘무농약과 유기농’ 무슨 차이가 있겠냐 싶겠지만 적어도 하나는 농약을 사용하지 않았을 것이라는 걸 우리는 안다. 하지만 유기농은 그 이상의 의미를 가지고 있다. 농업 방식의 문제가 더 추가되는 것이다. 섬세하게 표현하기에서는 ‘귀경길과 귀성길’에 대한 단어가 나온다. 우리가 명절이 되면 가장 많이 듣는 단어 중에 하나인데 어떤 것이 우리가 생각하는 귀경길인지 책에 답이 나와있다. 저자는 우리가 이 책에 실린 단어에 만족하지 말고 어휘력을 늘리기 위한 노력을 하기를 바라는 마음에 마지막 챕터를 실어두었다. 어휘력을 늘리기 위한 방법인데, 사전을 찾아보거나 책을 많이 읽거나 생각나지 않는다고 ‘거시기’라는 표현을 하지는 않는 것이다. 이 외에도 여러 가지 방법을 제시하고 있는데 어휘력은 꾸준함이 최고라는 생각이 들었다.
책 표지에도 적혀있지만 문해력에 문제가 있다고 생각되거나 설명이 어렵거나 등의 상황에 처한 사람이라면 이 책이 꼭 필요한 어른이라고 한다. 어휘력 상승을 기대하는 사람이라면 이 책을 읽어보는 것이 좋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