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래는 물에서 숨 쉬지 않는다 - 불완전한 진화 아래 숨겨진 놀라운 자연의 질서
앤디 돕슨 지음, 정미진 옮김 / 포레스트북스 / 2024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진화에 대한 새로운 접근법을 가진 책이다. 또한 우리는 진화에 대해 어디까지 생각해봤을까를 떠올리게 한다. 이 책에서는 여러 동물을 만나볼 수 있는데, 그 이름조차 낯선 이들이 있다. 물론 치타 등과 같이 우리와 친숙한 명칭도 있지만 말이다. 이들과 진화가 대체 무슨 상관일까 또는 이들의 진화는 예상되는 바 아니겠어라는 질문을 일축할 만큼 책에서는 새로운 시각으로 진화를 바라보고 있다. 이런 소재를 다룬 '과학책'이라고 일컫는 것 중에 마치 소설의 결말이 기다려지는 것처럼 결말이 기다려지는 책은 이 책 말고는 없지 않을까란 생각이 들었다. 인간을 비롯하여 모든 종이 그렇겠지만 진화를 거쳐 지금의 모습에 이르게 되었다. 아주 오래 전 우리가 상상도 할 수 없는 시기에는 바다에는 고래와 같은 것보다 (지금으로 치자면 심해 생물) 뼈도 없고 의지도 없는 생물들이 물 흐름에 따라 흐르면서 살아가고 있었다. 초기의 진화는 복제하는 것과 다르지 않았다. 복제를 하고 그 복제에 복제를 거쳐 지금의 모습에 이르게 되었다는 것이다. 


치타와 가젤의 이야기가 나온다. 저자는 치타가 왜 빠르게 진화하게 되었는지에 대한 문제를 던진다. 이 과정이 참으로 단순하지 않지만 단순하게 표현하자면 가젤이 빨라서 이다. 치타의 사냥감인 가젤은 꽤나 빠른 속도를 가지고 있다. 처음부터 치타의 속도가 빨랐던 것이 아니라 가젤의 빠름에 의해 진화된 것이다. 하지만 그 위로 더 올라가보면 치타가 먼저냐, 가젤이 먼저냐의 문제가 발생한다. 결국 누가 먼저였던지 간에 서로가 서로의 '빠름'을 진화시킨 것만은 확실하다. 진화라는 것은 결국 서로의 필요에 의해 변화해 나가는 것이다. 그 다음의 진화는 '뻐꾸기' 우리가 잘 알고 있는 뻐꾸기처럼 '탁란'을 하는 새가 꽤 있다는 것이다. 남의 둥지에 자신의 알을 넣어놓고 그 알이 부화하기를 기다린다. 뻐꾸기만이 아니었단 사실에 놀라웠고, 이렇게 내가 낳은 알이 아니어도 전혀 구별을 하지 못한단 것이 신기했다. 행여 탁란을 할 곳을 찾지 못한다고 하면 알을 낳은 새가 품을 것이라고 생각한다면 오산이다. 그 알은 그냥 그대로 둔다고 한다. 결코 자신이 품지 않는다고 한다.


진화의 과정 속에서 많은 것들이 달라지고 현재의 상황에 맞게 변해왔겠지만, 그 중에서 가장 안타까웠던 것은 아주 오래 전의 이야기이다. 우리가 잘 알고 있는 괌에 1,500km쯤 떨어진 곳에 살던 뱀이 들어오게 되었다. 그 전까지만 해도 진화라는 개념에서 봤을 때, 괌에 사는 새는 '뱀'에 대한 것이 나무 위를 올라와 자신과 자신을 위협하는 존재가 되리라고 생각하지 않았다고 한다. 그저, 땅에 있는 존재라고 생각했다. 하지만 1,500km쯤 떨어진 곳에서 온 이 뱀은 달랐다. 지금처럼 나무 위를 오르기도 했고 심지어 위장을 할 줄도 알았다. 갑작스럽게 진화가 100%된 뱀과 진화 적응력이 0%인 새가 만나게 되었고, 결국 새들은 멸종 위기를 맡게 된다. 우리가 미처 만나보지도 못한 채 시간 속으로 사라져 버린 도요새와 같은 종들이 있다. 그 새들처럼 괌에서 역시 진화의 정도가 달랐던 상황에서 많은 새들이 멸종했고, 우리는 다시 만나볼 수 없다고 한다. 

새로운 시각의 진화에 대해 살펴볼 수 있었고 여러 가지 문제들을 제시하는 저자를 통해 많은 생각과 답을 찾아볼 수 있었다. 진화나 과학과 관련있는 책을 좋아하지 않더라도 이 책은 재미있게 읽어볼 수 있는 여지가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