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플 애널리스트들이 온다 - 사람을 분석하고 연구하는
김다혜 외 지음 / 클라우드나인 / 2024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일단 이 책을 읽으면서 무척 신기했던 부분은 다수의 저자가 하나의 목소리를 낸다는 것이었다. 다수의 저자와 여러 가지 주제가 있어서 분량을 나누어서 책을 썼을 것이라고 생각했는데, 전혀 그렇지 않았다. 마치 한 사람의 목소리이자 글인 것처럼 유연하게 흐르는 글들이 '피플 애널리스트'에 대한 이해를 더하게 만들었다. 가장 먼저 피플 애널리스트가 무엇인지 궁금한 사람이 있을 것이다. 말 그대로 사람을 분석하는 전문가이다. 사람에 대한 분석이 필요한 곳이 어딜까 생각해 본다면 가장 많이 사람이 모여 있는 곳, 직장이 가장 먼저 떠오를 것이다. 이들은 직장 내에서 발생하는 문제를 정의하고 분석해서 해결책을 제시하는 역할을 한다. 근본적으로 교육학 분야에 대한 기반을 하고 있는 것 같아서 관련된 전공을 한 사람이라면 이 책이 조금 더 수월하게 읽혀지리라 생각한다.


무엇 때문에 '피플 애널리스트'라는 말을 쓰는지에 대해 궁금할 것이다. 세상은 예전과 달리 디지털화되어 가고 있고, 책에서 말하고 있는 것처럼 '데이터'의 중요성이 날로 커져만 간다. 엄청나게 쌓여가는 데이터를 어떻게 이용할지 결정하고 분석하는 것에 대한 일을 바로 이들이 한다. 그렇다면 피플 애널리스트가 되려면 어떤 자질을 갖춰야 하는지 궁금할 수 있다. 여러 명의 저자의 이야기를 들어볼 수 있는 부분이 이곳이었는데, 각자의 자질과 역량을 쌓기 위해 어떤 커리어를 선택하고 이동했는지에 대해 설명해 주고 있다. 모든 사람이 같은 커리어를 갖고 있지 않았으며, 문과생도 가능하다라는 희망을 주는 데에 이른다. 누군가의 시작은 통계학일 수 있고 누군가의 시작은 교육일 수 있다. 여러 사람들의 다양한 관심사가 모여서 지속적인 HR 분석에 대한 공부와 연구가 이루어진다는 생각이 들었다.


물론 이중에서도 가장 중요한 자질은 인간에 대한 관심과 사랑이라는 말이 등장한다. 인간에 대한 기본적인 애정이 없다면 굳이 이들은 사람에 대한 데이터를 모으고 분석할 필요가 없을 것이다. 누군가의 원활한 업무를 위해서, 사람이 모여 만들어진 집단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그들이 있기 때문이다. 피플 애널리스트라는 단어는 비록 생소하지만, 읽는 내내 우리 주변에서 비슷한 경력을 가진 사람을 한 번씩은 다 만나봤을 것이란 생각이 들었다. 이 분야로 진출하고자 하는 사람, 앞으로의 방향이 데이터 기반의 사람과 관련된 분석이라면 이 책을 읽어보면 진로 결정에 도움이 될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