애프터 워크 - 가정과 자유 시간을 위한 투쟁의 역사
헬렌 헤스터.닉 서르닉 지음, 박다솜 옮김 / 소소의책 / 2024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애프터 워크라는 말은 말 그대로 우리가 임금노동이라고 불리우는 '회사일'이 아닌 집안에서 이루어지는 일을 말한다. 이 책에서는 일명 가사 노동에 대한 부분을 촘촘하게 다루고 있는데, 어찌하여 기술이 발전해도 집안에서 이루어지는 노동 시간은 지속적으로 늘어나는 것인가에 대한 부분이다. 일례로 우리는 다양한 기술이 들어간 각종 청소용품을 사용하더라도 사용에 있어 편의가 좋아졌을뿐 노동 시간이 줄어들지 않는 것과 같은 맥락이다. 이 책을 읽으면서 '기술'에 대한 부분이 가장 인상 깊게 다가왔다. 우리는 가사노동 시간을 발전된 기술로서 줄일 수 있다고 생각해 왔다. 내가 해야 할 노동 시간을 현저하게 줄여준다고 생각했는데, 이 책을 읽고보니 실상 그것이 아니었다는 것을 깨닫게 된 것이다. 그렇다면 여기서 저자는 어떻게 하면 가사노동에 들어가는 시간을 줄이고 우리는 '자유시간'을 얻을 수 있을까에 대한 질문을 던진다.


가사 노동에서 가장 중심이 되는 것은 '재생산 노동'이다. 쉽게 이야기해서 돌봄, 육아 등의 것들인데 살갗이 닿는 노동이라고도 할 수 있다. 이 부분에 대해서만큼은 이전과 현재는 크게 달라진 점이 없다. 여전히 여성의 손(또는 누군가의 노동력)을 필요로 하고 달라진 점이 있다면 재생산 노동에 대한 위상이 살짝 높아졌다는 것 뿐이다. 이런 상황을 극복하기 위해서 저자는 탈노동에 대한 이야기를 꺼낸다. 우리가 노동 시간을 줄여나가는 것이 또 다른 시간을 확보하는 데에 기여한다는 것이다. 이 이야기는 '공간 활용'에 대한 부분까지 이어진다. 결국 저자가 하고자 하려던 말은 한 쪽의 성별로 치우져친 재생산 노동을 해결하기 위해 공동 돌봄 등의 실천적인 대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공동 돌봄이자 공동 보육은 일본에서도 저출산의 해결책으로 시행하고 있다는 이야기를 본적이 있다. '공동'이라는 공간이 주는 단점보다 장점을 먼저 살펴봐야 할 때이다.


소위 말하는 워킹맘들이라면 이 책에 대해 간절함을 느끼지 않을까란 생각이 든다. 워킹맘이 아니더라도 직장과 집안일을 병행하고 있는 사람들은 줄지 않는 가사노동 시간에 이 책에서 답을 찾을 수 있을 것이다. 우리는 그 좋은 기술이 담긴 물건들을 쓰면서도 지속적인 가사 노동에 시달리고 있으니 말이다. 자유시간을 확보하기 위한 투쟁은 계속될 것이며 어쩌면 아직도 진행중일 것이다. 불과 몇 년안에 해결될 일 또는 그렇지 않을 수도 있겠지만 이 문제에 대해 화두를 던지고 논의를 해나갈 수 있는 것만으로도 시작점이 되어줄 것이라 생각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