싯다르타 열림원 세계문학 4
헤르만 헤세 지음, 김길웅 옮김 / 열림원 / 2023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싯다르타'라는 제목으로 여러 출판사에서 출간되었다. 우리가 잘 알고 있는 헤르만 헤세의 작품으로 싯다르타는 깨달음을 얻는 과정을 그려내는 종교 소설이다. 종교 소설이라는 점에서 접근하기를 어려워 하는 사람도 있을테지만, 종교 소설이어서 이 책에서 깨달음을 얻을 수 있는 부분들이 많다. 종교의 여부와 상관없이 내면의 깨달음을 얻고자 하는 사람들에게는 귀한 시간이 되어 줄 것이다. 싯다르타는 인도 브라만 계급의 아들이다. 또 다른 브라만의 아들 고빈다와 함께 고행의 길을 떠난다. 브라만 계급으로서 신께 기도하는 길이 아닌 탁발승이 되어 자신에 대한 깨달음을 얻고자 한 것이다. 이 과정에서 브라만 계급인 싯다르타의 아버지는 극심한 반대를 한다. 


물론, 결론은 우리가 예상할 수 있는 것처럼 싯다르타의 뜻대로 이루어진다. 이 과정이 책에서 한 두 페이지 분량 정도로 표현되어 있는데, 싯다르타의 굳은 심지가 느껴진다. 아버지가 자신의 의지를 허락해 줄때까지 그 자리에 그대로 서서 시간을 보낸다. 아버지는 침상에 들었다가 아들의 걱정으로 시간마다 일어나서 작은 창문을 통해 아들을 살핀다. 그때마다 아들은 미동 없이 그 자리에 그대로 팔장을 낀 채로 서 있었다고 한다. 이 장면에서 싯다르타가 생각하는 옳은 방향, 그리고 그것을 이끌고 나가겠다는 강렬한 의지의 표현이 돋보였다. 결국 아버지의 허락이 떨어진 이후에 흔들리는 다리에 힘을 주는 묘사까지, 자신의 운명을 개척해 나가고자 하는 과정을 살펴볼 수 있었다.


그 이후의 싯다르타의 삶은 고빈다와 함께 수행이 이어진다. 때로는 좋은 스승을 만나서 배우려고 노력하기도 하고 자신의 한계를 시험하기도 하면서 말이다. 끝내 싯다르타가 찾은 삶의 비밀은 자신을 깨부수고 버리는 것이 아니었다. 자신인 싯다르타를 버리지 않는 것이 깨달음에 이르는 길이었던 것이다. 싯다르타는 결국 죽음을 선택하기까지 이르는데, 그가 내린 결론은 누군가에게 가르침을 통해 깨달음을 얻을 수 없다는 것이었다. 계속되는 깨달음의 길에서 싯다르타 옆에는 항상 고빈다가 있었다. 마지막까지 고빈다는 싯다르타 곁에 남아 있는데, 이렇게 함께 수행하고 깨달음을 얻고자 하는 사람이 있다는 것 또한 새로운 경험이었다.


종교 소설이지만 자신의 인생 책이라고 소개하는 사람들이 꽤 많다. 우리가 직접 수행을 하고 깨달음을 얻을 것까지는 아니지만 적어도 책을 읽는 내내 인생에서 중요한 게 무엇인지 '방향'에 대해 생각할 수 있는 기회를 가질 수 있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