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단의 힘 - 조직심리학이 밝혀낸 현명한 선택과 협력을 이끄는 핵심 도구
박귀현 지음 / 심심 / 2023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집단이 가진 힘이 어떤 것인지 경험해 보지 않은 사람은 없을 것이다. 우리는 은연 중에 어떤 집단에 속해서 다수의 의견을 따르거나 소수의 의견을 내기도 한다. 그에 대한 결말이 기억난다면 아마도 소수쪽이 아닐까 생각된다. 저자는 집단의 힘이라는 제목 아래 과거부터 지금까지 이어져 오는 집단이 가진 힘이 무엇인지 실펴본다. 팀이라는 구조는 예전부터 있었으며 지금과 달리 팀이 가진 역할은 과거 원시시대에는 더 강력한 힘을 가지고 있었다. 누군가는 짐승보다 빠른 속도를 갖고 있거나 누군가는 짐승을 빌견하는 눈을 갖는 등의 역할 분담으로 말이다. 지금도 팀워크에 대한 중요성이 있지만 개별 작업 또는 업무가 조금 더 우선시 되어가는 경향이 보인다. 하지만 여전히 집단이 가진 ‘팀 워크’의 힘을 무시할 수만은 없다.

집단에 포함된 사람들을 통해 저자는 여러 가지 실험을 한다. 다수의 의견이 어떻게 되는지, 다수의 의견과는 다른 소수의 의견은 어떤 식으로 받아들여지는지 등 말이다. 소수 의견은 옳고 그름을 떠나 누군가에게 받아들여지는 과정은 역시나 쉬운 일이 아니다. 노란색을 초록색이라고 말하는 소수 의견이 잔상으로나마 받아들여지는(?) 현상은 신기했다. 우리는 여전히 어딘가에 속해있다. 그것이 팀이라는 이름일 수도 있고 어떤 집단의 일원이기도하다. 자신의 의견이 다수 의견이 아니라서 늘상 고민되는 사람이라면 이 책이 도움이 되리라 생각한다. 어떤 상황과 방식으로 소수 의견이 반영되는지 또한 확인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저자는 꿀벌의 이야기를 전하며 집단 지성에 대한 걸 이야기한다. 꿀벌은 자신들의 세계에서 의사결정을 해야 할 때 각자의 의견을 다 말할 수 있게 해준다고 한다. 어떤 꿀벌이 더 힘이 세다고 하여 더 오래 자신들의 언어로 말할 수 있는 것 또한 아니라고 한다. 인간의 세계가 본 받으면 좋을 법한 토론의 현장이다. 각자의 의견을 피력하고 그 의사들을 종합하여 결론을 내는 방식이라고 하니, 꿀벌의 토론 과정이 매우 인상 깊었다. 여러모로 다 배울 점이 많다는 생각이 드는 책이었다. 차분하게 집단의 힘, 토론, 의사결정 등에 대한 이야기를 읽어보고 싶다면 이 책이 적절할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