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는 가상 세계로 간다 - 피라미드부터 마인크래프트까지 인류가 만든 사회
허먼 나룰라 지음, 정수영 옮김 / 흐름출판 / 2023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메타버스에 대한 새로운 해석을 가진 책이다. 대부분의 메타버스와 관련된 책은 일단 책 표지부터 화려하다. 기술의 화려하면서도 멋진 도약을 보여주려는 듯한 느낌으로 말이다. 하지만 이 책은 다르다. 아마 책의 초반만을 접하는 독자들은 이런 생각을 할 수도 있다. "내가 책을 잘못 골랐나?." 이 책에서는 메타버스를 분석하거나 어떤 메타버스가 무슨 기능을 갖고 있다는 등의 소개서가 아니다. 우리가 왜 메타버스라는 가상 세계를 만들고 그 가상 세계가 어디까지 진화할 것인지에 대한 이야기를 한다. 이 이야기의 기반은 바로 과거로부터 온다. 아주 오래전에 '신의 세계'에서 살던 우리의 모습에서도 이 가상 세계를 향한 열망을 발견할 수 있다는 것이다. 과거의 올림포스는 우리가 근접할 수 없는 가상세계였다. 사람들은 그곳을 통해서 미래를 엿보기도 했지만 직접 이용하거나 활용할 수 있는 대상은 아니었다는 것이다. 하지만 지금의 우리에게 다가온 가상 세계는 직접 활용하고 이용할 수 있다. 심지어 직업의 전환을 꾀할 수도 있는 여지가 있는 세계이다.


과거와 현재의 가상세계에 대한 '가치'를 어떻게 생각할 것인지에 대한 부분이 바로 이 책의 핵심이다. 과거에도 우리는 가상세계를 구축했으며, 현재도 구축했지만 그때와 지금은 확연하게 다르다는 것이다. 이 책 후반부에서는 메타버스 상의 직업에 대한 이야기가 나온다. 코로나로 인해 많은 사람들이 인터넷, 원격 등의 세계로 들어가버렸다. 누군가는 타인과의 대면이 불편했는데, 그 세계로 인해 이 불편이란 요소가 사라져버렸다. 하지만 진짜 가상세계는 우리가 인터넷을 이용한다고 해서 구축되는 것은 아니라고 한다. 메타버스의 세계에서 직접 직업을 갖고 이용할 수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또한 저자는 메타버스의 구조에 대해 말하고 있다. 소위 '암흑시대'를 지나가고 있는 것이라 하는데, 메타버스를 만들어내는 기업이 선의만 갖고 있지는 않다는 것이다. 인간에 의해 메타버스라는 가상세계가 암흑시대를 거쳐 좋은 방향으로 나아갈지는 결국 우리 인간의 손에 달려있다.


메타버스를 기술의 집약체로 보지 않고 인간에게 있어 어떤 '가치'를 갖고 있는지에 대한 시각으로 바라보니, 또 다른 해석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작년에 비해 올해는 메타버스를 활용하지 않게 된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이대로 사라지게 될 것인지 아니면 우리에게 가상세계라는 또 다른 세계의 문을 열어주게 될 것인지는 아직 두고봐야 알 수 있는 부분이다. 메타버스에 대한 새로운 시각을 느껴보고 싶은 사람이라면 이 책이 아주 새롭게 다가올 것이다. 기술적인 면만을 고려하지 않는 점에 있어서 메타버스에 대해 다르게 생각해 볼 수 있는 기회였기 때문이다. 메타버스가 열어줄 앞으로의 세계가 궁금하다면 이 책을 읽기를 바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