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명화의 실루엣 - 그리스 비극 작품을 중심으로 빠져드는 교양 미술
박연실 지음 / 이담북스 / 2021년 7월
평점 :
그리스 비극을 바탕으로 하는 명화를 살펴보는 시간을 가질 수 있는 책이다. 그리스 신화에는 익숙한데 비극만을 모아둔 것을 읽으니 새로운 인물들이 꽤 많이 등장하는 듯 했다. 물론 컬러풀한 그림을 감상하느라, 이에 따른 이야기에 푹 빠져 그리스 신화에 대한 이야기는 잠시 머릿속에서 떠날 정도였다. 새로운 이야기, 새로운 명화들을 감상할 수 있는 좋은 기회였다고 생각한다. 그리스 3대 비극으로 꾸려진 이 책은 아이스퀼로스, 에우리피데스, 소포클레스 이야기로 구성되어 있다. 글만큼이나 그림이 많이 실려 있어서 그림만 보는 재미도 쏠쏠하게 즐거웠다. 비극을 기반으로 하는 명화라서인지 섬뜻하게 잔인한 장면도 있고, 이야기를 같이 읽으면서도 이렇게까지 잔혹했어야 했나라는 생각이 들기도 했다. (어느틈에 그리스 비극에 빠져들고 만 듯한 기분이었다.) 가장 익숙한 헤라클레스에 대한 이야기가 가장 기억에 남는데, 헤라클레스는 제우스가 외도를 통해 낳은 아들이다. 그래서 헤라는 광기의 여신을 보내 헤라클레스를 미치게 하여 많은 사람을 죽이게 한다. 이 헤라와 헤라클레스의 관계에 대한 그림을 살펴보게 되는데 같은 주제를 가지고 여러 가지 명화를 감상할 수 있었다. 그림의 특징이 확연하게 다른 작품이었는데, 이를 통해 바로크, 신고전주의 등의 그림의 특징을 살펴볼 수 있었다.
이 헤라클레스의 이야기는 후반부에서 이어지는데, 바로 헤라클레스의 죽음에 대한 이야기와 작품이었다. 비극을 기반으로 한 내용들이라서 죽음과 관련된 것들이 많아 한 번에 다 읽기는 조금 힘들게 느껴졌다. 하지만 명화를 이 한 책에서 다양하게 감상할 수 있는 기회는 흔하지 않으리라 생각한다. 더구나 그리스 비극에 익숙하지 않은 사람들에게는 그리스 비극을 그림을 통해 알게되는 것만으로도 많은 것을 얻을 수 있을 것이다. 책이 반질반질한 재질의 종이로 구성되어 있기 떄문에 작품을 조금 더 선명하게 볼 수 있었다. 미술관이나 전시회에서 원본을 보는 것 같은 느낌까지는 아니더라도 제대로 된 색감과 질감을 느낄 수 있었다. 이러한 배려로 책을 읽는 내내 그림을 감상하는 재미가 더할 나위없이 많이 느껴졌다. 그리스 비극에 관심이 있다든가, 그리스 비극이 아니더라도 명화를 한 번 살펴보고 싶은 사람이라면 이 책을 통해 다양한 그림을 살펴보고 더불어 그리스 비극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작품을 감상하는 것만으로도 생각하던 가치 그 이상의 것을 얻을 수 있는 책이었다고 생각한다.
<이담북스 서포터즈로 제공 받은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