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성한 소 - 채식의 불편한 진실과 육식의 재발견
다이애나 로저스.롭 울프 지음, 황선영 옮김 / 더난출판사 / 2021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고기'를 좋아하는 사람은 많다. 힘들고 피곤한 날, 축하해야 할 날 등 무엇인 '날'이 있을 때 우린 '고기'를 찾기도 한다. 이러한 특별한 대우를 받던 고기가 어느 새인가 먹지 말아야 할 '것'으로 전락하고 있다. 동물성 단백질의 전부를 담당하고 있고 인류의 역사상 뇌의 진화를 맡았던 이 고기라는 것의 입장이 전과 같지만은 않다는 것이다. 우리는 '고기'에 대한 오해 속에 고기를 멀리하기도 하고, 제대로 된 정보가 아닌 잘못된 정보로 고기를 등한시한다. 저자는 이러한 '고기'에 대한 편견이 아닌 제대로 된 인식을 가르쳐 주고, 바람직한 식단이 무엇인지에 대한 이야기를 하고 있다. 육식을 하게 된 것은 어느 날 갑자기 그렇게 된 것은 아니다. 생각보다 많은 세월을 익힌 고기를 먹으며 살아오지 않았지만, 그로인해 우리의 건강이 점점 나빠지고 있다고 한다. 게다가 평균 수명 역시 줄어들고 있다니 '육식'이 아닌 식습관에서 문제를 찾을 수 밖에 없다. 식습관에서 문제를 찾을 수 밖에 없는 큰 사례 중에 하나가 고릴라의 이야기가 등장한다. 동물원에서 키워지던 고릴라는 시멘트 바닥과 갖힌 환경에서 점차 인간이 가진 질병과 같은 것들을 갖게 된다. 결국은 심장 질환으로 인해 사망에 이를 수도 있게 되는데, 사육사들은 식습관에서 답을 찾아냈다. 인위적인 단백질이나 섬유질의 공급원이 아닌 그야말로 별 것 아닌 '풀'에서 고릴라의 체중감량과 스트레스를 감소시킨 것이다. 그래서 우리는 '고기'가 아닌 제대로 된 '식습관'에서 인간 수명, 그리고 건강에 대한 문제를 풀어내야 한다.


저자는 소에 대한 오해를 좀 더 구체적으로 풀어가려고 한다. 인간의 육식으로 인한 가축의 증가, (물론 다양성은 줄어들고 있다) 그로 인한 환경 오염에 대한 이야기를 풀어나간다. 그 중에서도 아마 가장 많은 사람들이 재미있어할 만한 파트는 바로 '소의 방귀'에 대한 진실이다. 소는 풀을 먹지만 트름을 통해 메탄을 생성한다고 한다. 그것이 안 좋은 영향을 미친다고 생각하고는 있지만, 결론적으로 소로 인한 실보다는 득이 많은 것이 사실이라고 한다. 단백질을 충원하기 위해 시작된 인류의 육식 생활이 어느 틈에는 지구 환경을 위협하는 데까지 오게되었다. 물론 과도한 섭취는 그 어떤 영양소라고 해도 좋지 않은 결과를 가져오는 것은 사실이다. 저자는 이러한 상황에서 제대로 된 정보를 바탕으로 우리가 꾸려나가야 할 식단을 제시한다. 단백질을 줄인다고 해서 동물성 단백질을 다 줄여야 하는 것은 아니다. 어차피 미국 기준으로 대부분의 사람들이 그다지 많은 고기를 먹고 있는 상황은 아니라고 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잘 먹는 데 영양 부족이 오고 있기 때문에 바른 식습관은 필수불가결의 조건이 되었다. 저자가 제시하고 있는 식단은 여러 가지 단계가 있는데 생각보다 지키기 어려운 수준의 것들은 아니다. 따라하다보면 지구 환경에 대한 도움도 되고 자신의 건강에도 도움이 되는 식단이니 시도해 볼 만한 것이란 생각이 든다. 제대로 된 '육식'에 대한 책을 한 권 읽었다는 생각이 들었다. 저자는 혹여 독자들이 두터운 책의 두께를 이기지 못해 다 읽지 못할 것을 우려해 앞 쪽에는 꼭 읽어보면 좋을 파트를 제시해 놓고 있다. 버거운 사람들을 위해서 필수적이면서도 재미있는 부분들이니 그렇게라도 읽어보면 좋을 듯 하다.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작성한 리뷰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