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제도 오늘도 퇴준생입니다 - 입사보다 퇴사가 더 어려운 회사원을 위한 퇴사 준비 에세이
박철홍 지음 / 이담북스 / 2021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퇴사원이라는 말을 이 책을 통해 처음 접하게 되었다. 처음에는 낯설었는데 회사원도 있는데 퇴사원이 왜 없어란 생각이 이내 들었다. 이 책은 퇴사를 하고자 하는, 퇴사를 마음 속에 품고 사는 사람들을 위한 맞춤형 퇴사 처방전이라고 말할 수 있을 것이다. 퇴사를 꿈꾸지 않은 사람은 없을 것이다. 회사 생활에 큰 뜻을 품고 입사를 하지만 시간이 지남에 따라 모든 사람들은 퇴사를 꿈꾼다. 물론 아닌 사람들도 있다. 간혹 현재의 직장에 만족하며 다닌다는 사람들이 보이는 걸 보니, 모든 이가 다 그래! 라는 말은 하기가 어렵다.


어쨌든 저자의 경험담이자, 앞으로 퇴사를 꿈꾸는 사람들을 위한 이 책은 왜 퇴사를 하게 되는지, 그 이유에서부터 어떤 방식으로 퇴사를 해야 하는지에 대한 방법까지 알려준다. 그 와중에 '퇴사원'이라는 단어가 등장하게 되는데, 내 꿈의 목표가 회사원은 아니었을텐데라는 저자의 말이 맴돌며 이 퇴사원이라는 단어가 더 마음에 와닿았다. 저자의 이야기 중 머리가 하얗게 새치로 뒤덮인 선배의 이야기가 있다. 간혹 이런 사람들을 만나볼 수 있는데, 나이와 맞지 않게 유난히 머리가 하얗게 된 사람들이다. 그들의 머리는 회사로 인해 주어진 압박감과 스트레스로 인해 변하게 된 것이다. 그럴 수 있단 생각은 했는데 막상 이곳에서 답을 찾은 듯한 느낌이 들었다. 저자 역시 처음 그 선배를 만났을 땐 자신의 머리는 새치가 없었는데, 몇 년 후 그 선배를 다시 만나쓸 땐 자신의 머리에도 있는 새치를 발견하게 되었다고 한다.


내 꿈의 목표가 회사원이 아니란 것에 확신이 든다면 퇴사 준비를 시작해야 한다. 그 퇴사의 목표가 단순하게 놀기 위한 것은 아니다. 저자의 말처럼 퇴사를 결심한 순간 내가 하고 싶었던 일들이 다시 떠오르기 시작한다고 하는데, 이게 어떤 이야기인지 알 수 있을 것 같았다. 빠듯한 하루 일과를 보내지 않고 마음의 여유가 조금이라도 깃든 순간, 내가 원래 원하던 일, 하고 싶었던 것들을 찾을 수 있는 것이다. 저자는 퇴사의 모든 것, 퇴사의 시작부터 마무리까지에 대한 이야기를 후반부에 싣고 있다. 어떤 식으로 퇴사를 알려야 하는지, 퇴사하기 전에 누군가와 의논을 해야 한다면 누구와 의논을 해야 하는지까지, 아마 퇴사를 고민하는 사람들의 고민들을 다 담아둔 듯 보였다.


퇴사가 꼭 해야 하는 것은 아니지만 필요하다고 생각한다면 주저 없이 (저자처럼 5개월 간의 유예 기간을 갖는 것도 좋아 보였다) 선택하는 것도 나쁘지 않다는 생각이다. 퇴사에 대한 고민을 하는 많은 사람들을 위한 책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