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코노믹스 - 음악 산업에서는 누가, 어떻게 돈을 버는가
앨런 크루거 지음, 안세민 옮김 / 비씽크(BeThink) / 2021년 4월
평점 :
절판


로코노믹스라는 음악 산업과 경제와의 관계 속에서 탄생한 경제학 용어이다. 로코노믹스라는 새로운 용어의 제목이 붙여진 이 책은 경제경영 분야에서 한 번쯤 읽어봐야 할 책이 아닌가라는 생각이 들었다. 여러 가지 산업이나 다양한 분야의 경제와 관련된 분야를 살펴보면서 우리는 경제를 예측한다. 하지만 음악 산업과의 경제의 연관 관계는 처음 접하는 분야였다. 이 처음 접하는 분야는 경제학을 모르는 사람으로 하여금 (음악만 좋아한다면 호기심이 생길 충분한 이유가 있다) 집중할 수 있는 요소들을 참 많이 가지고 있다. 우리에게 잘 알려진 가수들의 이름이, 일명 슈퍼스타라고 하는, 등장하기도 하고 그들의 음악 산업에 대한 것들이 조명되기도 한다. 음악 산업은 생각보다 다양한 분야가 존재하고 있었다. 예전에는 단순하게 음원을(CD에 담겨있거나 Mp3 형태의 음원) 발표하고 그로 인한 수입만이 종사자들의 수입원이라고 생각했다. 그 외에도 여러 가지 수입원이 있겠지만 가장 큰 부분이 음원이 아닐까란 생각을 한 것이다. 하지만 생각보다 이 음원 판매는, 특히 스트리밍 산업이 발전하면서, 딱히 큰 수입을 가져오지 않는다고 한다. 이보다 콘서트와 같은 소비자에게 경험을 제공하는 콘텐츠가 더 많은 수입을 가져온다고 한다. 그래서 음원 발표보다는 공연이나 콘서트에 더 열의를 쏟는 아티스트들도 있다고 한다.


음악 사업은 아직도 슈퍼스타 위주의 수입 구조를 가지고 있다. 그러다보니 수입의 격차가 엄청 크게 나기 마련인데, 쉬운 말로 잘 버는 사람은 잘 버는 구조가 지속되는 것이다. 하지만 슬슬 변화가 시작되고 있다고 한다. 저자의 말에 의하면 이제는 몇몇 유명한 소속사가 아닌, 개인이 직접 음원을 내는 구조로 변하고 있다고 한다. 그 안에서 수익 구조의 변화가 일어나고 있고, 더이상 유명 소속사에 소속되어 이것저것 불필요한 요소들까지 감내해야 하는 상황들에서 벗어나는 움직임이 시작되고 있는 것이다. 음악 사업과 경제는 전혀 상관없는 것처럼 보였지만 사실은 너무나 밀접한 연관관계를 가지고 있었다. 경제학을 음악 산업에 입힌 것이 아니라 음악 산업에서 경제학을 찾아낸 것이라 그런지 경제학이 가진 조금은 어렵고 이해하기 힘든 느낌을 전혀 받을 수가 없었다. 음악을 좋아하거나 들어본 적이 있는 사람이라면 이 책이 무슨 말을 하고자 하는지를 충분히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음악 산업이 갖고 있는 경제학을 살펴보고자 하는 사람이라면 이 책이 많은 도움이 될 것이다. 물론, 경제학을 다른 시각으로 바라보고 싶은 사람에게도 유용할 책이다.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작성한 리뷰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