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질문은 그를 귀찮게 해 - 생존을 위해 물음을 던졌던 현직 기자의 질문법
김동하 지음 / 이담북스 / 2020년 12월
평점 :
질문을 잘 하는 사람이 있고 그렇지 못한 사람이 있다. 아마 대부분의 사람들은 잘 못하는 쪽이 아닐까 한다. 질문을 잘 하고 못하는 것은 어쩌면 성향의 차이가 있을 수 있다. 이 책을 쓴 저자 역시 어린 시절부터 가장 말이 없었던 존재였다고 한다. 하지만 현재 그는 기자가 되었고, 그의 직업은 질문이라는 것은 필수적으로 해야 한다. 요즘의 교육환경은 조금 달라졌지만 예전에는 질문을 하기보다는 주입식 교육이 대부분이었다. 질문을 하면 선생님을 방해한다는 생각을 해본적은 없지만 적어도 수업이 늦게 끝나거나 오늘 나가야 할 진도를 끝내지 못한다는 부담감은 들었던 것 같다. 저자 역시 주입식 교육을 받았던 세대로서, 질문을 한다는 것은 어쩌면 선생님을 방해하는 일일거라 생각했다고 한다. 물론 지금도 저자는 길을 찾아야 할 때 직접 길을 아는 사람에게 물어보기보다 핸드폰을 꺼내든다고 한다. 아마 요즘은 직접 물어보는 것도 드문 일이거니와 낯선 사람의 질문을 흔쾌히 받아줄 사람 역시 많지 않아 보인다. 이 책의 초반은 저자가 질문에 대한 이야기를 꺼내면서 자신의 이야기도 함께 하고 있었다. 처음에는 질문이라는 주제로 얼마나 많은 이야기가 나올 수 있을까 했는데, 깔끔한 문장과 흡입력 있는 내용이 질문에 대해 얕고 깊은 생각을 다양하게 할 수 있게 만들어 주었다.
책의 초반이 저자의 이야기와 질문이었다면 중반부터는 본격적으로 저자가 기자 생활을 하면서 던진 질문, 그리고 어떤 상황에서 어떤 질문을 던져야 하는지에 대한 이야기가 나온다. 대부분의 사례가 정치인의 이야기여서 낯익은 이름들이 등장한다. 기자라는 직업의 세계를 잘은 모르지만 하나 확실한 것은 그 세계에서도 지켜야 하는 것들이 있다는 것이다. 궁금하다고 해서 마구잡이로 질문을 하는 것이 아니라 지켜야 할 것, 그리고 질문에 대한 답을 얻었을 때 그 정보를 어디까지 공개할 것인지에 대한 것 등 다양한 것들에 대한 약속이 있다. 그것을 깨는 사람은 결국 관계를 깨는 것과 다름 없다는 생각에 공감한다. 인상 깊었던 부분은 정보에 대한 이야기였다. 1~3급 정보까지 단계가 있는데 모든 사람이 다 알고 있는 정보는 질문할 필요가 없으며, 그것은 정보로서의 가치가 그리 높지 않다. 하지만 나도 모르고, 너도 모르고, 그도 모르는 정보, 하지만 극소수의 사람만 아는 정보는 최고의 가치를 갖고 있으며 이를 확보해 제공하는 것은 뜻이 있는 일이다. 정보는 어디까지나 주고 받는 형태라고 말하는 저자는, 정보를 공개하는 사람의 입장에서 그 정보가 다시 어떻게 자신에게 돌아올지까지도 생각한다고 한다. 정보를 기사화했을 때의 효과, 그리고 그 효과로 인해 변화될 인지도 등이 고려 대상이다.
질문이 무엇인지에서 시작해, 기자의 삶에서 빼놓을 수 없는 질문에 대한 이야기들, 그리고 마지막은 질문에 대한 잔잔한 고찰로 이 책은 마무리된다. 여전히 질문이 어렵게 느껴질 사람을 위해 어떻게 질문을 해야 할지 알려주기도 하고, 자신을 향한 질문을 해보라고 조언을 하기도 한다. 대부분의 사람들이 시간을 내서 자신에게 향한 질문을 하지는 않을 것이다. 대부분 답을 해줄 수 있는 상대방에게 질문을 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하지만 이 부분을 읽으면서 나 스스로에게 질문하는 시간도 필요하다는 생각이 들었다. 기자라는 직업, 그리고 질문을 하는 것에 대해 궁금한 사람이라면 이 책을 통해 얻는 게 많을 것이다.
이담북스 서포터즈로 제공 받은 책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