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트남, 라오스, 캄보디아 3국의 커피, 누들, 비어 - 프렌치 커넥션을 따라 떠나는
이영지 지음, 유병서 사진 / 이담북스 / 2019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동남아시아를 여행할 기회가 생각보다 부족했었다. 동남아시아보다는 조금 더 멀리, 또는 조금 더 가까이라는 상황이 많았기에 베트남, 라오스, 캄보디아 중에서 딱 한 곳, 베트남에만 가 본 경험이 있다. 한 번의 경험으로 그곳의 모든 것을 알 수는 없다. 그 경험이 길지 않은 짧은 여행이었고, 그 나라의 모든 것을 본다기 보다는 잠깐의 시간을 공유했다는 느낌이 더 맞을 듯 하다. 추위 보다는 더위에 강력하다는 생각에 자신 있게 찾아간 베트남, 그리고 더위 때문에 몹시도 고생했었는데 이 베트남을 이 책을 통해 보게 되니 그때의 괴로움과 달리 무척 반가웠다. 하노이에서 마신 에그 커피, 콩 카페 등이 책에 소개 되어 있어 다시금 그 시간을 느껴볼 수 있었다. 이제 본론으로 들어가자면 이 책은 단순한 동남아시아 여행기는 아니다. 물론 그렇다고 해서 여행의 요소를 완전히 배제한 것은 아니지만 딱히 관광이나 여행을 위한 정보라기에는 조금 더 다양하고 깊은 내용을 다루고 있다.


라오스, 베트남, 캄보디아는 프랑스 지배를 받았던 동일한 과거를 가지고 있다. 그로 인해 변화된 모습도 분명히 있고 이면에는 좋지 않은 모습도 있을 것이다. 또한 막연하게 세 나라가 비슷한 느낌을 갖고 있지 않을까 했었는데, 쌀을 재배 또는 자라는 모습을 표현한 모습에서 각각 나라의 모습이 다르다는 것을 이번 기회를 통해 알게 되었다. 저자는 이 세 나라에서 맥주, 커피, 누들을 경험한 이야기를 써내려간다. 쌀국수를 먹을 때 보통 주어진대로 또는 약간의 소스를 첨가해서 먹기는 하지만 다양하게 이것저것 넣어볼 생각은 한 번도 하지 못했다. 한국에서 먹는 쌀국수가 그런 다양한 향신료를 갖추고 있지 않기도 했고, 점심 시간에 주로 급히 먹다 보니 여러 가지 형태로 음미해 볼 엄두는 생각조차 하지 못했다. 그런데 이 책을 읽으면서 앞으로의 쌀국수는 (진짜 그곳의 맛인지는 한 번의 경험으로 기억조차 나지 않지만) 다양한 시도를 해서, 여러 가지 맛을 느껴볼 생각이다.


프랑스 사람들이 커피를 마시기 위해 시작한 커피 재배는 마침, 이들 나라의 기후와 잘 맞아떨어진 부분이 있었다고 한다. 커피의 경우 베트남식 커피도 있지만 프랑스식 커피도 아직 남아 있어 다양한 맛을 느껴볼 수 있다고 한다. 베트남 커피하면 생각나는 것이 굉장히 진한 맛이 떠오른다. 아마 각기 다른 맛들도 존재할 텐데 기회가 된다면 라오스의 커피를 한 번 마셔보고 싶다. 와인은 추운 지역에서 먹기에 좋은 술이고 맥주는 더운 지역에서 먹기 좋은 술이라고 한다. 저자가 표현한 손 끝으로 기운이 빠져나가는 기분을 한 번 느껴본 적이 있었는데, 아마도 그 때가 더운 때였나 싶은 생각이다. 시원한 맥주는 가격도 저렴한 편이고 지역의 특색을 반영한 맛이 공존하고 있어 꽤 많은 인기를 누리고 있다고 한다. 단지 단점이라면 그곳에서만 먹을 수 있다는 것이다.


커피, 맥주, 누들로 살펴보는 베트남, 라오스, 캄보디아는 비슷한 것 같지만 다른 점들을 가지고 있는 나라들이었다. 언젠가 기회가 된다면 더 많은 시간을 그 곳에서 보내보고 싶다는 생각이 드는 책이었다. 저자의 여행과 나름의 발견으로 인해 세 나라에 대한 새로운 사실도 알게 되고, (소승불교와 대승불교에 대한 이야기는 역사 공부가 되는 듯 했다) 쌀국수 맛을 다시금 느껴보고 싶다는 생각이 들게도 했다. 이 세 나라에 대한 애정을 가진 사람들이라면 한 번 읽어봐도 좋을 것 같고, 이 세 나라에 대해 아직 잘 모르는 사람이라면 읽어보고 언젠가는 여행을 가본다면 좋을 듯 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