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비혼 여성, 아무튼 잘 살고 있습니다 - 같이는 아니지만 가치 있게 사는
권미주 지음 / 이담북스 / 2020년 9월
평점 :
요즘 시대의 결혼은 필수가 아닌 선택이 되어 가고 있다. 물론 아직도 언제 결혼하니? 아이는 언제 낳니? 등의 말을 듣는 경우가 종종 있겠지만, 사람들의 생각이 점점 변화하고 있다는 것이 느껴진다. 결혼을 안 하느냐, 못 하느냐의 문제가 아니라 자발적 비혼을 선택하는 사람들을 위한 바이블의 느낌인 <비혼 여성, 아무튼 잘 살고 있습니다>를 읽게 되었다. 결혼이라는 제도를 선택하지 않고 어떻게 하면 잘 살 수 있는지에 대한 이야기가 정말 꼼꼼하게 실려있다는 느낌을 받을 수 있었다. 보통 비혼에 대한 책을 가끔씩 접하다보면 가볍게 비혼에 대해 다루고 넘어간 책들이 주를 이루었는데, 이 책은 다른 책들과 달리 A부터 Z까지를 담으려고 했다. 그러다보니 비혼을 선언하고 사는 삶이라기 보다는 여자 혼자서 살아내는 괜찮은 삶에 대한 이야기, 그 이야기가 이렇게나 많아라는 생각이 들기도 하였다.
비혼이라는 말에 들어있는 것은 단순히 결혼을 하지 않았다만은 아니다. 많은 사람들이 우려하고 있는 이러다 혼자 늙게 되면 너무 외로워서 어쩌지라는 고민, 그 오지 않은 시간들에 포함되어 있는 두려움을 저자는 천천히 자연스럽게 안심하게 만들어 준다. 단순하게 툭 던지는 "사람은 누구나 외로운 거야!"라는 말이 아닌 외로운 시간들을 받아들이고 보내는 방법, 그 시간들을 활용하는 방법 그리고 저자의 이야기를 섞어 한편으로는 완벽하게 안심되는 외로움을 느낄 수 있게 해 주었다. 저자의 이야기에서 고개를 끄덕이며 "그래그래, 나만 이런 것은 아니었어."라는 동질감을 떄로는 느끼기도 하고, 다행스럽다는 생각이 들기도 했다.
중년의 나이에 접어들었을 때 20대에 꿈꾸던 멋진 커리어 여성은 아니지만 그 멋지지 않은 나만의 여성을 잘 받아들이는 방법, 그것이 이 책의 주된 이야기가 아닐까 한다. 그렇다고 해서 결혼한 삶이 전부 별로야라고 외치는 것은 결코 아니다. 적당한 무게와 균형을 가지고 독자의 입장에서 비혼과 결혼의 삶을 이쪽저쪽 살펴보고 자신의 선택을 존중할 수 있도록 저자는 이야기한다. 기억에 남는 부분이 있다면 마흔에 들어선 여자가 직장을 옮기는 것은 참 힘들다는 것, 아파서 119를 직접 불러야 하는 일이 생기면 어떻게 또 그렇게 불러진다는 것 등이 맴돌았다. 혼자라서 외로운 시간이 아니라 혼자라서 가질 수 있는 나만의 시간을 잘 보내는 방법이 무엇보다 관심이 갔는데, 저자처럼 나만의 루틴을 좀 만들어야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자의적 또는 타의적인 상황에서 비혼과 결혼 사이에서 고민하는 사람들, 혼자가 좋지만 훝날의 외로움에 두려워하는 사람들, 어떤 선택이든 하기 전에 이 책을 읽어본다면 자신의 선택에 조금 더 확신을 가질 수 있지 않을까란 생각이 들었다. 단순하게 비혼에 대한 이야기가 아니라 비혼과 결혼에 대한 생각의 폭을 넓혀주는 기회가 되었다고 생각한다.
=========================
서평은 <이담북스 서포터즈로 제공 받은 책>을 읽고 작성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