암소가 우유를 생산하기 위해 임신을 반복해야 한다는 당연한 사실은 ‘깜빡‘ 잊혀질 때가 많다.이 사실을 처음 알았을 때도 충격적이었지만 이 책을 보는 내내 충격적이었다.이 책에서 계속 강조하는 바는 사회가 고기와 동물을 다르게 분류한다는 것고기가 되기 전 동물, 고기가 되기 위한 동물의 모습은 쉽게 숨겨진다는 것나는 고기를 너무 좋아하는 사람으로서내가 좋아하는 고기를 얻기위해 동물들이 겪는 처참함, 또 그 산업이 가져오는 환경파괴, 공해를 똑바로 바라보기도 괴롭지만 외면하기는 더 괴롭다.어떤 변곡점이 필요하지 않을까나를 비롯한 사람들이 정말 조금씩이라도 책임을 져야하는 순간이 와버린 것은 아닌가 생각한다.우스갯소리 중 당신이 좋아하는 뮤지션을 위해 앨범을 5장 사셨다고요? 그렇다면 당신은 평생 비누형 샴푸, 린스, 바디워시만 쓰셔야 하겠네요. 다소 머리가 바삭하겠지만 한 짓이 있으면 이 지구에 책임을 지세요.라는 농담을 보았다.이 농담이 사실은 우리가 가장 따라야할 말이 아닌지.나는 내가 내가 한 짓을 조금이라도 만회하기 위해 가죽이라도 안사고, 두 번 먹을 것을 한 번 먹으려 노력해야겠다.
문학책 만드는 법 (원고가 작품이 될 때까지, 작가의 곁에서 독자의 눈으로)쟈근 출판사에 마케팅 업무로 취직하게 되면서 여러가지 기회가 주어졌다. 그 중 하나는 웹소설 편집 업무였다. 내가 문예창작학과를 나오고 편집에도 관심을 두고 있다고 해서 애초에 열린 마음으로 나를 활용해보고자 하셨던 것 같다.근데 뻔한 말이지만 역시나 내가 대학을 다니면서 출판 과정 수업을 들었든, 주변에 출판사 다니는 지인에게 설명을 들었든(사실 편집자과정을 따로 밟을 수 있었으나 나는 실기과목을 더 많이 들었다.)처음듣는 것들이었다. 개 처음 진짜로 나 처음 세상에....그래서 언제나 좀 여유를 가지고 편집과정에 대해 훔쳐볼 수 있다면 좋겠다는 생각을 했다.회사에 편집자님들이 있지만 나도 발주업무며 마케팅 업무며 도저히 훔쳐볼 수가 없었다.그 갈증을 이 책이 해결해주었다. 별 다섯 개를 줄 수 밖에 없다. 내가 원한 내용 그 자체다.실무 그 자체 원고를 읽으며 인상깊은 부분을 표시해두는데 그것에 그치지 않고초교 좋은 부분, 재교 좋은 부분, 삼교 좋은 부분으로 나누어 기록해 두어 초교때 눈에 들어왔던 문장은 마케팅 자료로 사용한다던지재교나 삼교서 눈에 들어왔던 문장은 작가의 작품세계에 대한 고찰을 더욱 깊게 만들어 보도자료에 활용한다던지 하는 것들표지를 고를 때는 접어본 샘플 표지만 파고들지 말고 서점 매대에 한번 놓아두고 비교해보는 것들 그 외에도 너무나 내가 원했던 그것들만 꽉꽉 채워져 있었다.사실 이 책의 저자 강윤정 편집자님은 유튜브로 먼저 접했던 사람이다. (강윤정씨를 사랑한다. 그녀의 남편분을 워스트 댄서로 뽑은 뒤 배틀해 그 자리를 쟁취하고 싶다.)서점에 가서 책만 보지말고 매대의 전체를 체크하고 누워있는 책 뿐 아니라 등만 보이고 앉아있는 책들까지 꼼꼼하게 보게 해준 사람유행하는 책의 색감이나 용지, 후가공같은 것을 처음으로 신경쓰게 알려준 사람이라 더욱 신뢰를 가지고 책을 읽어나갈 수 있었다.(사실 내가 그런 경험이 없어도 강윤정 편집자님은 프로 중 프로다.)책을 만드는 일에 대한 실무에서 이 책을 팔기 위해 노력하고 고민하는 실무까지 담겨있다는 점이 더 좋았다.
가장 경멸하는 것도 사람, 가장 사랑하는 것도 사람. 그 괴리 안에서 평생 살아갈 것이다.
콩국수 맛이 다른가, 평소와? 규익은 조심스럽게 곧 나온 콩국수를 맛보았다. 가끔 너무 난도질당한 마음은 상태를 살피기도 난처해서 감각에만, 오로지 단순한 감각에만 의존해야 할 때가 있다. 지금은 콩국수가 규익의 진단시약이었다. 천천히 국수를 씹고, 그다음에 묵직한 그릇을 들어 콩국을 마셨다.아니다. 같은 맛이다. 그럼 괜찮은 거다.
가볍게 접근했는데 생각보다 모르는 내용이 너무 많고흥미를 가질만한 단어들을 잘 골랐다wow소주가 아랍술이라는 놀라운 사실동아시아 첫 전깃불은 고종이 켰다는 사실wow목차를 고대 고려 조선 근대로 나눠어 놓았던데 단어로 읽는 5분 한국사라는 이름 때문에 그렇게 했는지는 모르겠지만 굳이 그렇게 했어야했나 음식, 생활, 이런식의 단어의 묶으로 정리했어도 좋았을듯한국사의 흐름을 얘기하기에는 부족하지 않았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