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흘 - 이현수 장편소설
이현수 지음 / 문학동네 / 2013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고려 조선시대의 역사소설인줄 알고 이 책을 집어 펼쳐들었습니다.

그러나 참혹하고 힘들었던 역사의 한 장면 충북 영동에서 벌어진 한 사건이 시작이었습니다.

우리 나라의 역사에 한 획을 그을수 있는 6.25전쟁...

체험하지는 못하였지만 참혹하고 무엇이라고 말은 할 수 없지만 우리 나라의 잊지 못할 전쟁이라고 생각합니다.

내시가문의 딸인 다큐멘터리 작가 김진경씨는 다큐멘터리를 찍기위해 생각하기도 싫어 떠 나온 고향을 향하여 노근리 사건을 취재하러 가게 됩니다.

충북 영동에 위치한 노근리 사건을 취재하면서 본인의 마음으로는 달리 마음은 고향을 향해가고 있었습니다.

고향의 향수, 부모님의 생각, 이웃에 대한 생각...

 

고향에서 가족에 대한 생각 이웃과의 대화를 통하여 옛날의 추억이 생각나게 되었습니다.

1950년 7월, 충청북도 영동군 황간면 노근리 철교 밑에서 한국인 양민 300여 명이 사살되었었고 당시 미군 전투기의 폭격을 당한 피난민들은 철교에서 뛰어내려 노근리 쌍굴로 숨었으나 미군은 굴다리 앞 야산에 기관총을 걸어놓고 쌍굴을 빠져나오는 양민을 차례로 쏘아 죽였다. 바로 한국전쟁 중 벌어진 뼈아프고 비참한 역사적 참극인 ‘노근리 양민학살사건’에 관한 이야기를 특집으로 잡아 취재하는 가운데 그들의 삶에 대한 애환이 느껴졌습니다.

무심코 들어간 고향의 다방에는 어느새 ‘다방아이’라고 불리던 초등학교 동창이 어머니의 가업을 이어 주인 행세를 하고 있고 멀리 도망치고 싶은 맘과는 다르게 자꾸만 자신에게 친근하게 다가오는 이 고장이 진경에게는 당혹스럽기만 하다. 취재만 끝내면 곧장 떠나리라, 다시금 굳게 다짐해보았느나 진경은 낳다 죽은 줄로만 알았던 어머니에 관한 비밀을 알게 되면서 진경은 노근리 쌍굴에서 일어난 비극적인 진실에 점점 더 노근리 사건에 대하여 파헤쳐 가게 되었습니다.

취재를 하는 가운데 평생 내시가를 지키는 수문장으로 살아온 김태혁을 만나게 됩니다.

김태혁도 예전의 생각들이 주마등처럼 지나오면서 진경을 만날 준비를 하면서 그 당시의 노근리 사건에 대하여 회상을 하게 됩니다.

미군이 들어와 나흘동안 충북 영동군에서 발생한 노근리 사건 ...

처참하고 힘들었던 나흘

처음 맞닥뜨린 일방적인 전투, 하늘에서 퍼붓던 F-80 전투기의 요란한 폭격, 피란민의 외침과 절규 사이로 자욱이 덮이던 먼지, 그 여름의 미친 더위, 노근리 쌍굴에서 피란민과 숨 가쁘게 대치했던 삼박사일, 삶에도 컴퓨터처럼 삭제 키가 있다면 당장에 눌렀을 저주받은 나흘의 기억.

그러나 이 소설은 한 여자의 자기 치유서 즉 고향을 외면하며 살았던 김진경이 결국 자신의 근원을 아프게 찾아가는 과정을 통해 소설은 노근리에 서린 어둡고 축축한 공기들을 꿋꿋하게 헤쳐나가면서 누구인지도 모르는 아버지, 자신을 놔두고 자살한 어머니도 그녀의 삶을 불행하게 할 수 없는 과거이지만 그녀의 빈집의 꽃들은 저 혼자 피고 지고 부모나 주인을 찾지 않고 그러나 이런 모습이 6.25때의 살던 우리의 모습이고 우리 농촌의 모습이 아닐까 생각합니다.

꽃들이 어쩌면 그녀의 모습이고 우리들의 모습이기도 할 것입니다.

말로만 듣고 역사로서만 배웠던 노근리 사건을 소설속에서 만나니 색다른 맛이 느껴집니다.

다시는 이런 전쟁이 생기지 말아야 하겠고 우리의 북한 주민들에게도 많은 관심을 가지되 국방은 튼튼히 지켜야 하겠습니다.

한 여자의 인생속에서 바라본 노근리 사건...

다시한번 읽어보고 역사속에서 말하는 깨달음을 생각하면서 행복한 시간을 가질수 있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