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자의 비움 공부 - 비움을 알아간다는 것
조희 지음 / 리텍콘텐츠 / 2021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현대를 살아가는 우리들은 남들과 비교하면서 상대보다 내가 더 가진것을 자랑하고 뽐내고 자랑하려고합니다.

퇴직을 하고 나이를 먹어감에 따라 채우는 것이 아니라 비우면서 살아가고 싶어 이 책을 선택하게 되었습니다.

장자의 비움의 철학을 통하여 항상 채우는 것이 아닌 공간을 비우면서 빈 공간을 활용하면서 살아가는 것이 저의 작은 소박한 꿈이 있었습니다.

또한 나이를 먹어가면서 공자님의 채우는 것이 아닌 장자님의 비움의 공부를 통하여 더욱더 내 마음에 다가오는 것을 느낄수가 있었습니다.

꿈속에서 나비가 되어 한 마리의 새가되어 공중을 날라다닐때 그는 의식주를 통하여 걱정하고 근심하는 것을 보고 듣지를 못했습니다.

그들이 원하는 것은 항상 일용할 양식 그뿐이었습니다.

그래서 저는 장자님의 비움공부를 통하여 어떻게 비우는 것이 현명한것일까 생각하면서 실천을 하고 싶었습니다.

장자의 비움의 철학은 이 세상의 쓸모 없는 것 쓰임이 없는 것은 없다고 하였습니다. 그러나 우리는 너무나 많은 것을 가지고 있습니다.

그래서 이러한 장자의 비움 철학 교훈을 통하여 그 당시의 장자가 살던 시대를 책속으로 찾아가서 장자를 만나볼 수가 있었습니다.

2300년전의 사상이라고 하지만 요즘처럼 물질이 풍족하고 가지고 있으면서도 더 가지고 싶은 것이 인간의 욕망인 이시대 다시한번 장자의 비움의 철학을 통하여 내 주변 내 생활부터 비움을 실천해 보고자 합니다.

이 세상에 있는 것은 이 땅에 와서 사용하고 우리 후손들에게 물려주어야 할 자산들 그러나 현대인들은 영원할 것 같이 많은 물질 환경등을 사용하는 모습을 보면서 한편으로는 안타까운 생각이 들었습니다.

저 또한 많은 물질을 통하여 지금은 물건이 내 생활을 지배하지 않은가 반성해 보는 시간을 가질 수가 있었습니다.

비움을 통하여 한 단계 인생의 성숙함을 알아가고 실천해 보려고 하였습니다.

채우는 것이 아닌 비움으로서의 인생의 성숙함 진정으로 가진자는 마음을 비우고 물질을 비우고 살아가는 삶이 최고의 인생의 성숙함이 아닌가 불편을 즐기는 삶 얼마전 돌아가신 법정스님의 무소유의 삶 인간으로서의 최고의 성숙함의 삶이 아닐까 다시한번 장자의 비움공부를 통하여 느껴볼수가 있었습니다.

이 책을 통하여 느낀점은 내가 왕이라고해도 다른 사람이 왕으로 인정하는가 안하는가의 삶 즉 내가 아무리 왕이라고 하여도 상대방이 인정하지 않으면 소용이 없듯이 내가 가진것이 많다고 하여도 인정하지 않는 삶은 진정한 삶이 아니라고 생각되었습니다.

우리 나라 국민이라면 아니 진정한 삶을 살고 싶은 독자라면 한번쯤 비움공부를 통하여 내려놓는 삶을 살았으면 하는 작은 바램입니다.

욕심은 채우면 채울수록 더 채우고 싶은 마음이 있듯이 한번 내려놓기 시작하면 끊임없이 내려놓을 수 있는 삶이 진정 고귀한 삶이 아닐까하는 생각을 합니다.

현실에 너무 집착하고 내가 영원히 살것이라는 집착 이제는 내려놓고 간결하고 무소유에 가까운 내려놓는 삶 너무 멋있고 삶의 경지가 아닐까하는 비움의 장자님의 공부를 해 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