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차 산업혁명과 대안의 사회 1 - 의미로 읽는 인류사와 인공지능 4차 산업혁명과 대안의 사회 1
이도흠 지음 / 특별한서재 / 2020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700만년의 길고긴 인류사를 문자화하여 4차 산업혁명에 관하여 서술한 책으로 방대하고 길고 의미를 새롭게 부여한 서양의 유발하라리가 있다면 우리 동양에는 저자 이도흠교수님이 계시지 않을까 생각됩니다.

조금은 지루한 감이 있고 답답하기도 하지만 인류사 700만년의 역사를 한권의 책으로 담는 다는 것은 어찌본다면 어렵고 힘들기도 합니다.

그러나 우리 인류사를 말하지 않으면 4차 산업혁명을 말할 수 없어 이렇게 길고 긴 여행을 하지 않았을까 주관적으로 느껴봅니다.'

의미를 중심으로 아주 오래전 구석기 시대부터 현재에 이르기까지 걸어온 발자취를 생각해 보면서 우리 인류는 다른 동물과는 달리 사고를 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추고 있기에 지금까지 발전되어왔고 또 발전 되리라고 봅니다.

                           

우리 인류가 다른 동물과 같이 육신적인 욕망에만 사로잡혀 먹고 자고 즐기는 생활을 하게 되었다면 지금의 이 세상은 꿈꿀수가 없을 것이라고 봅니다.

1. 의미로 읽는 인류사와 과학기술

인류는 어떻게 태어나고 존재하였는가 구석기에서 신석기 농경 경제생활을 하면서 우리의 선조들은 먹고 살기위해 존재했다고 합니다.

2. 의미로 읽는 인류사2 철기와 종교의 시대

인류가 철을 사용하고 사람이 할 수 없는 일에 대하여는 신에게 의지하고 철을 사용함으로 과학과 산업이 발전되고 점점더 과학이 발전되고 인류가 궁금했던 것들이 해결됨에 따라 사람들의 지능이 높아지고 그럼으로 시민들의 권리와 의무를 주장함에 따라 시민들이 혁명을 일으키고 권리를 주장하게 되었습니다.

3. 과학 기술과 신, 인간, 진리의 관계

과학이 발전됨에 따라 신이 할 수 있는 영역이 줄어들게 됨에 따라 점점더 인류는 과학에 의지 하게 되었고 그럼에 따라 종교와 과학은 대립을 하게 되었고 과학과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우리 인류는 한편으로는 살기 좋아진 반면 한편으로는 환경오염과 인류가 과학을 만남에서 모든 것을 할 수 있고 영혼불멸 사상을 가지게 되었습니다.                             

인류는 어디에서 와서 어디로 가고 있는가?

인류는 어떤 방법으로 오늘날까지 발전되어 왔는가?등등의 의미적인 인류사를 논함으로 다시한번 우리 인류의 발전과 현재의 자리를 생각해 보는 시간을 가질 수가 있었습니다.

700만년의 인류의 역사라고 하지만 책을 읽으면서 우리의 인류의 발전상황을 읽어가면서 대단한 인류 사피엔스의 삶등이 참으로 대단하고 그중에 대단한 한 사람이라는 존재 너무나 놀랐습니다.

요즘 4차 산업혁명을 말하고 있는 슈밥이든 제러미리프킨등 다양한 방법으로 말을 하고 있지만 원하든 원치않든지 오늘날 조금씩 우리 생활에 다가오고 있는 4차 산업혁명 인공지능시대 공부하고 준비하고 그들을 맞이하기위해 열심히 노력을 해야 한다고 봅니다.

그 이유는 모든 일들이 장점도 있지만 단점도 있기에 우리 인류는 지금까지 살면서 현인류도 있지만 다가오는 미래세대에 물려주기 위해 장점을 최대한 살리고 단점을 최대한 줄여나가면서 4차 산업혁명 사물인터넷 인공지능등을 발전 시키고 지켜나가야 한다고 봅니다.

이 책을 읽으면서 조금 아쉽다면 서술하는 점에서 조금은 지루한 면이 있어 약간의 우화와 그 시대의 역사등을 조명해 보는 내용이 조금 첨부가 되었으면 독자로서 어렵게 느껴지지 않았을까 하는 작은 생각을 해 보게 됩니다.

또한 우리가 살지 않았던 오래된 역사들을 읽어나가면서 정말 그렇게 살았을까 어떻게 이런 일이 생겨났을까하는등 궁금증이 생겼을때 그 당시의 작은 내용등이 있었다면 조금은 어렵게 느껴지지 않았을 것입니다.

4차 산업혁명은 현재 우리 생활에 아주 가까이 근접해 왔습니다.

그러므로 산업혁명의 정보를 접하고 플랫폼등을 소유한 사람들은 큰 부자가 되고 소유하지 못한 사람들은 어렵게 살게 되어 평등과 불평등은 극단을 달리고 다른 어느때보다 큰 격차가 벌어지고 있는 실정입니다.

우리 모두가 지구촌에서 잘 살기 위해서는 불평등의 격차를 줄여나가면서 모두가 행복한 삶을 추구해야 할 필요가 있다고 봅니다.

이런 격차는 정부가 해야 할 몫이기에 우리 국민들은 정부에 적극 협조하고 정부는 국민들을 위해 올바른 방향으로 이끌어가면서 방향점을 제시해야 한다고 봅니다.

다른 어느때보다 4차 산업혁명을 맞이 하는 우리들 모두가 한편으로는 편리함이 있지만 한편으로는 우리 인류가 기계문명에 통제를 받을 수 있다는 위험 요소가 있기에 한번더 생각하고 고심하는 대안의 사회가 되었으면 합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