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블루 시스터스
코코 멜러스 지음, 심연희 옮김 / 클레이하우스 / 2025년 10월
평점 :
“우리는 결국, 같은 바다를 다른 방향으로 헤엄치는 사람들이다.”
눈발이 흩날린다.
뉴욕의 겨울, 오래된 집.
세 자매가 그 안에 서 있다.
누군가는 손에 남은 먼지를 털고,
누군가는 부엌 불빛에 기대어 있다.
말은 적고, 공기만 가득하다.
집 안의 온도가 약간씩 달라지고,
그 차이만큼 각자의 마음이 어긋난다.
작년 겨울,
밤늦게 퇴근하고 돌아오던 길,
거리의 공기가 너무 차가워
그냥 숨만 쉬며 걷던 그 시간.
누군가를 미워하지도, 그리워하지도 못하고,
그냥 존재만 남아 있던 그 느낌.
그게 이 소설의 리듬이었다.
말없이 버티는 삶의 속도.
'블루 시스터스'는 거대한 사건이 없다.
그 대신, 흐름이 있다.
감정이 폭발하지 않고
눈빛처럼 스쳐 지나간다.
그런데 그 스침이 오히려 더 정확하다.
누군가 울기 직전의 얼굴,
손끝의 주름,
컵에 남은 물자국 같은 이미지들이
그들의 삶을 대신 말해준다.
이야기는 어머니의 죽음 이후,
세 자매가 남겨진 집을 정리하면서 시작된다.
그 집은 마치 시간의 잔해 같고
서로의 얼굴엔 각자의 실패가 묻어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들은 함께 식탁에 앉는다.
불편하고, 서먹하지만
결국 함께 밥을 먹는다.
그 장면이 유난히 따뜻했다.
읽으며 깨달았다.
삶은 거창한 화해나 깨달음이 아니라,
같은 공간을 다시 공유하는 일일지도 모른다고.
말 한마디 없이도,
그 자리에 함께 있다는 사실만으로
조금은 살아진다.
커튼을 걷었다.
늦은 오후의 빛이 벽에 부딪혀
부서지듯 번졌다.
잠시, 아무 생각이 없었다.
그때 느꼈다.
이 책은 나를 위로하려 하지 않았다.
다만, 내가 지금 어떤 온도로 살아가고 있는지를
조용히 보여줬다.
좋았던 점.
문장이 투명하다.
감정을 밀어붙이지 않고,
그저 빛처럼 흘러간다.
그래서인지,
읽는 동안 내 생각들이 한결 느려졌다.
삶의 장면 하나하나를 다시 보게 됐다.
아쉬운 점.
조금 더 거칠었으면 했다.
삶은 늘 정리되지 않은 채 남는데,
마지막은 약간 너무 잘 닦여 있었다.
그 미세한 불균질함이,
조금 더 있었으면 좋았을 것이다.
책을 덮고,
싱크대에 남은 컵을 씻으며 생각했다.
인생은 결국,
식지 않은 커피처럼
어중간한 온도를 유지하는 일일지도 모른다.
뜨겁지도, 완전히 식지도 않은 그 중간의 시간.
그 미묘한 온도 안에서
우리는 여전히 무언가를 견디고,
또 견디며 살아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