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내 아이가 책을 읽는다
박영숙 지음 / 알마 / 2006년 9월
평점 :
절판
'내 아이가 책을 읽는다’라는 책 제목을 읽고 처음 든 생각은
아이가 또래보다 꽤 빨리 한글을 떼고 책을 읽기 시작했나 보다,
그렇게 글을 떼게 하는 방법을 알려주는 책인가 보다 했다.
그런데 웬걸, 이 책은 느리게 느리게,
인위적인 교육을 배제하고 아이가 마음으로 책에 다가서는 방법을 알려주고 있었다.
요즘은 어린이 도서관도 많이 생기고, 일반 도서관에도 유아실이 있어서
혼자 책을 읽지 못하는 어린아이들도 책을 접할 수 있도록 문턱이 많이 낮아진 것은 사실이다.
그렇지만 유아실에 가 보면 추운 날씨에도 싸늘한 바닥,
분류가 별로 되지 않고 출판사나 연령별로 꽂혀 있는 책들,
조금만 떠들거나 장난치면 달려와서 조용히 시키는 직원들과 단속하는 엄마들,
도서 열람에만 충실하고 아주 간간이 비디오를 틀어주는 정도의 프로그램 운영이라서
차라리 집에서 마음 편히 책을 읽어주는 편이 낫다는 생각이 든다.
그래도 이 정도가 어디인가. 내가 클 때만 해도 도서관이란 시험 공부를 하러 가는 독서실 수준이었던 것을.
느티나무어린이도서관 관장님인 박영숙 님의 글을 읽다 보니
한없이 느리게 크면서도 다양하고 여유로운 모습으로 변해가는 아이들이 참 부러웠다.
회사에 다니느라 어쩔 수 없이 어린이집에 보내고 있는 딸아이가 안쓰러웠다.
그리고 그렇게 아이들을 믿어주고 엄마들에게서 보호한 ‘간장님’이 푸근하게 느껴졌다.
사실 아이 한둘만 낳아서 최고로 키우고자 하는 엄마들에게 맞서는 것은 여간 용기가 필요한 일이 아니다. 이끌어준 간장님도, 따라온 엄마들도, 그 기대에 맞추어 잘 자라준 아이들도 있었기에 사막의 오아시스 같은 도서관이 물을 흠뻑 머금은 느티나무처럼 쑥쑥 컸으리라 생각한다.
자기 아이도 키우기 어려워하는 사람들 틈에서 세상의 모든 아이들에게 가지를 뻗고자 하는 느티나무도서관, 그 시원한 그늘 밑에서 달디단 낮잠을 자고 온 듯하다. 시간이 허락되지 않아서 직접 가 보지는 못 하지만, 아이를 느리게 키울 수도 있음을 새삼 깨닫는 좋은 기회였다.